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중국 정부가 확산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강제구금과 시위현장 차단, SNS 검열 강화는 물론 지문과 망막 조사까지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30일 미국 CNN방송에 따르면 중국의 공권력을 총괄하는 천원칭 중앙정법위원회 서기는 지난 28일 회의에서 "적대 세력의 침투와 파괴활동, 사회질서를 교란하는 범법 행위를 발본 색원해 사회 전반의 안정을 확실하게 수호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는 최근 중국 전역을 휩쓸고 있는 반정부 백지 시위를 '적대세력의 범법행위'로 규정해 철저하게 차단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천원칭의 발언 이후 중국 공안의 시위 단속은 집요하고 철저하게 전개되고 있다.
우선 시위대가 모일만한 광장이나 거리 등엔 예외없이 많은 수의 공안을 배치하고 바리케이드 등을 설치해 시위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 상하이의 시위 중심지인 우루무치중로는 높은 바리케이드로 출입이 차단돼 군중이 모이는 것이 불가능했다.
검문검색도 강화했다. 행인들의 휴대전화를 확인해 당국의 인터넷 방화벽을 우회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가상 사설망(VPN)이나 트위터, 텔레그램 등의 앱이 깔려 있는지 일일이 확인했다.
지난주말 상하이 시위에 참여했던 한 시민은 "경찰에 연행돼 구금됐던 약 80~110명의 시위자 가운데 한 명"이라면서 24시간만에 풀려났다고 밝혔다.
연행된 시위자들은 경찰 버스안에서 휴대폰을 압수당했으며, 지문과 망막 패턴까지 조사당했다. 석방과 동시에 휴대폰은 돌려받았지만 사진 앨범과 SNS 앱이 삭제된 채였다.
중국에서 정부의 강압적인 코로나19 봉쇄조치에 반발하는 시위는 지난 24일 신장 우루무치의 아파트 화재(19명 사상)로 촉발된 이후 대학가 등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돼 지난 1989년 천안문 광장 민주화운동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커졌다.
일부 시위대는 침묵의 '백지 시위'를 넘어 공산당 독재종식과 표현의 자유 보장, 최고지도자인 시진핑 국가주석의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