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코로나 완화 기대감에 화장품주 상승세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중국의 봉쇄 반대 시위 여파로 국내 증시가 하락한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책 완화 기대감이 계속되면서 화장품 관련주가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전일대비 3만7000원(6%) 오른 65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아모레퍼시픽은 5500원(4.42%) 오른 13만원에 마감했다. 중국 생산 비중이 높은 코스맥스는 10.24% 급등했고 한국콜마도 5.54% 강세였다.
30일 오전 10시44분 기준 토니모리는 전 거래일 대비 4.14% 오른 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1.07%, 아모레퍼시픽 역시 0.77%로 소폭 오르고 있다.
화장품 관련주가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중국 정부가 코로나 방역 정책을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 덕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코로나19 발생 후 3년 가까이 이어진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반발해 전국에서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중국 방역 당국은 과도한 방역을 지양하고 대중의 불편을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증권가에서는 완화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화장품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중국 화장품 매출 비중은 전체 해외 매출에서 각각 70%, 50%를 차지하고 있다.
- 중국 시위진압 총력전...체포·현장차단·앱 검열에 지문망막 조사까지
- 원/달러 환율, 1320원대 출발 전망… 추가 하락은 제한될 듯
- 중국 시위·SNS 철퇴에 '화장실 혁명'?...'시진핑 물러나라' 확산
- 중국 봉쇄 여파에 LG생활건강, 3분기 영업익 '뚝'
- 서경배 아모레 회장, 창립 77주년 맞아 "아름다움의 미래 열어가자"
- 공정위, LG생건·아모레 대리점 갑질 의혹에 조사 착수
-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취약계층 창의 환경 조성 앞장
- 대법원, ‘한동훈 독직폭행’ 정진웅 무죄 확정
- 롯데카드, 디지로카앱에 예능 콘텐츠 ‘인정 NO인정?’ 공개
- 하나은행, 32개국 청소년 초청 ‘글로벌 금융 체험’ 실시
- 신한은행, 금융권 최초 메타버스 플랫폼 ‘시나몬’ 오픈
- 캠코․BNK 부산은행, 대학생 금융전문역량 경진대회 개최
- IBK기업은행, 급여고객 비대면 혜택관 ‘IBK급여라운지’ 오픈
- NH농협은행, ‘스마트팜 로드쇼’ 개최
- 토스뱅크, 이건호 前국민은행장·박세춘 화우 고문 이사 선임
- 이정애 LG생건 사장 "회사가 아닌 나를 위한다는 생각으로 일하라"
- 시진핑의 굴욕...중국 제로코로나 폐기, 위드코로나로 급선회
- 아모레퍼시픽그룹, 김승환·이상목 신임 사장 임명
- 시니어사업 힘준다… 아모레퍼시픽, GSTC와 건강장수 연구협력
- LG생활건강, 미주사업총괄 '아마존' 출신 문혜영 부사장 영입
- 한국콜마, 세종시에 AI 생산기지 건설… "글로벌 공략 나선다"
- 아모레퍼시픽그룹, 중국 소비 둔화에 발목… 작년 영업익 23.7% 감소
- 중국 소비 둔화에 실적 '뚝'… LG생건·아모레 새 전략은?
- 한국콜마홀딩스·석오문화재단, 사랑의열매에 기부금 전달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