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건·아모레, 지난해 영업익 64.7%·37.6%↓
중국 화장품시장 부진 등 영업 환경 악화 탓
양사 중국의존도 줄이고 북미시장 공략 속도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왼쪽)과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사장. 사진=각사 제공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왼쪽)과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사장. 사진=각사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중국 봉쇄로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들은 북미 지역에 투자를 늘려 실적 회복에 집중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은 17년 연속 성장세를 멈추고 18년 만에 역성장했다. 지난해 LG생활건강 뷰티사업부문 매출은 3조2118억원, 영업이익은 309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7.7%, 64.7% 줄었다.

아모레퍼시픽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매출 4조1349억원, 영업이익 2142억원으로 각각 15%, 37.6% 감소했다.

양사는 지난 한 해 동안 중국시장 침체에 발목을 잡혔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중국 지역 봉쇄와 소비 소비 둔화 등이 현지 화장품 매장과 면세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문제는 올해도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이 좋다고는 볼 수 없다”며 “최근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 C뷰티가 급부상하면서 K뷰티의 입지가 좁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해외 화장품사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이에 북미시장을 개척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먼저 지난해 12월 취임한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사장은 미래 신성장동력 마련과 글로벌사업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를 위해 김 사장은 최근 ‘뉴 엔진 브랜드 디비전’과 ‘뉴 마켓 디비전’ 등 직속 부서 2곳을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아모레퍼시픽은 북미시장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미국 럭셔리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를 인수하는 등 자사 주요 브랜드인 라네즈, 설화수 등을 중심으로 온라인 채널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최근 북미지역 사업 강화를 위해 문혜영 부사장을 최고경영자(CEO) 직속의 미주사업총괄로 영입했다. 문 부사장은 북미에서 전개하고 있는 브랜드와 더 에이본, 보인카, 더크램샵 등 현지 자회사 등 미주 전체 사업을 담당한다.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 역시 지난달 신년사에서 북미시장 공략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현지시장과 고객 특성에 맞는 브랜드, 제품 준비와 현지 사업 운영 역량 보강을 차근차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