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계약갱신요구권 사용 건수 6754건 '역대최저'
집주인이 가격 인하 먼저 요구… 임대료 감액 건수 19배↑

전셋값 추락이 이어지면서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을 요구하는 세입자가 줄어들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전셋값 추락이 이어지면서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을 요구하는 세입자가 줄어들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전국적으로 부동산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전셋값이 추락한 가운데 전월세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하는 세입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건수는 6754건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체 계약갱신 중 36% 수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 감소한 수치다.

최근 전세시장에서 ‘역전세난’이 심화된 가운데 전세금의 급격한 인상에 사용됐던 계약갱신요구권이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서로 완만한 협의가 이뤄지고 오히려 집주인이 가격을 내려줄테니 계약을 갱신해달라는 사례도 종종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깡통전세’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월세선호현상이 심화되면서 세입자들은 이전보다 전세매물에 대한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계약갱신요구권은 이전과 반대로 종전 계약 금액보다 임대료를 낮추는 데 사용되는 셈이다.

집토스가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12월 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갱신계약 가운데 종전보다 임대료를 감액한 계약은 1481건으로 전년 동월(76건) 대비 19배 이상 급증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갱신권을 사용한 계약이었다.

진태인 집토스 팀장은 “집주인들은 전세보증금을 감액해주거나 세입자의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는 반면 세입자들은 최근 전세사기 이슈로 월세를 더욱 선호하고 상황”이라며 “2년 전보다 하락한 전세가격과 올해 수도권에서 대규모 입주가 예정돼 있는 만큼 전월세 감액 갱신과 갱신요구권 감소 흐름은 당분간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