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디자이너들의 IT 플랫폼과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고민 소개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네이버가 디지털 분야 예비 디자이너와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네이버 디자인 콜로키움 2022(NAVER Design Colloquium 2022)’을 열었다고 30일 밝혔다.
행사는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일상과 업무문화를 바꾸고 있는 정보기술(IT) 디자인에 대한 인사이트였다.
기조연설은 김승언 네이버 디자인 설계 총괄이 했다. 그는 ‘증강된 삶(Augmented Life)’을 위한 IT 디자인의 중요성과 네이버 서비스에 담긴 디자인 철학을 설명했다.
김 총괄은 “컨버젼스 시대에서는 현실공간에서 온라인의 경험이 확장되는 것이 자연스럽고 오프라인에서의 경험도 온라인의 경험으로 합쳐지고 있다”며 “사용자의 근본적인 니즈와 새로운 기술을 잘 연결해주는 것이 디자이너들의 역할이고 이것이 잘 동작할 때 비로소 ‘혁신’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이어진 세션들은 ‘Work’, ‘Life’, ‘증강현실(XR) 경험’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Work 세션에서는 네이버의 신사옥 ‘1784’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업무 환경을 만들기 위한 네이버 디자이너들의 역할을 소개했다.
특히 신사옥에서 로봇이 행동하는 방식, 동선, 인터페이스 등 사용자 경험(UX)이 설계된 방식에 대한 실무 디자이너들의 인사이트가 공유됐다.
이후 ‘Life’ 세션에서는 클로바노트, 클로바케어콜 등 인공지능(AI)와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서비스 설계 과정이 소개됐다.
XR 경험 세션에서는 버추얼 인플루언서 이솔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차세대 검색 서비스 등 네이버 서비스로 제공되는 XR 경험과 디자인적 요소들을 설명했다. 추가로 네이버앱 Na. 새로운 핀테크 서비스의 UX 설계 과정 등도 공유됐다.
라이브 세션에서는 발표자들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참가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인사(HR) 담당자와 함께 네이버 디자인의 업무 환경과 문화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도 준비됐다.
네이버 디자인 콜로키움은 네이버가 쌓아온 디자인 인사이트를 디지털 분야의 예비 디자이너와 업계 관계자들에게 공유하는 행사로 5회째 진행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