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 500기 도입을 추진한다.
30일 요미우리신문 온라인판에 따르면 일본 방위성은 오는 2027년까지 최대 500기의 토마호크 구입을 검토하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13일 캄보디아에서 열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당시 '반격 능력'을 보유하기 위해 토마호크를 도입하겠다는 의향을 표명했다.
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도 억지력 향상을 위해 토마호크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12월 개정될 '국가안전보장전략'에 이의 보유를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은 '반격능력'의 구체적 수단으로 육상자위대가 지대함 미사일(2012년 배치)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정거리 연장이 필요하며, 개량된 이 미사일의 실전배치는 2026년 이후에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방위성은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만큼 최대 500기의 토마호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생산능력에 따라 도입 규모는 변동될 수 있다.
미국은 일본이 토마호크의 도입을 결정할 경우 최우선적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토마호크는 미군이 1991년 걸프전에서 처음 사용한 이후 여러곳에서 실전배치돼 성능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영국은 지난 2014년 65기의 토마호크(약 1억4000만달러)를 구입했다.
토마호크는 미군의 주력 정밀유도형 순항미사일로 사거리 1250km이며, GPS 시스템을 이용해 목표물을 탐지, 공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난 2017년과 2018년 시리아에서 사용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