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참여 저조, 동력 상실에 사실상 '투항'
전국지부 단위 해단식 후 현장 복귀 예정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9일 오전부터 총파업 지속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과반수 이상이 파업철회에 표를 던졌다. 이에 화물연대는 파업을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할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9일 오전부터 총파업 지속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과반수 이상이 파업철회에 표를 던졌다. 이에 화물연대는 파업을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할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16일만에 파업을 풀고 현업에 복귀했다.

화물연대는 정부의  강경대응에 대한  여론의 지지가 높아지고, 조합원들의 참여 저조로 파업 동력이 약화하자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화물연대는 9일 오전부터 전국 16개 지부에서 총파업 지속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투표 결과 총 투표자 3574명 가운데 2211명이 파업 종료에 찬성표를 던졌고, 나머지 1343명은 반대했다. 찬성이 과반을 넘기며 2주 넘게 진행됐던 파업은 막을 내렸다. 

화물연대는 지난달 24일부터 안전운임제 일몰 폐지, 품목 확대 등을 주장하면 집단 운송거부를 선언하고 투쟁을 이어왔다.

이 기간 철강, 석유화학, 정유, 완성차업계 등 전 산업계는 물류 차질로 3조원 넘는 손실을 입었다. 이에 정부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업무개시명령 발동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지난달 29일 시멘트분야를 시작으로 철강과 석유화학에 대해서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했다. 정부는 당초 대화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려 했으나, 산업계 피해가 늘면서 법과 원칙을 내세운 강경한 태도를 고수했다.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은 효과를 냈다. 실제 지난달 29일 2만1000톤으로 떨어졌던 시멘트 운송량은 지난 7일 18만톤으로 평년 동월(18만8000톤) 대비 96% 수준까지 회복했다.

업무개시명령과 함께 정부가 미복귀 화물차주에  대한 행정처분을 압박하자 조합원들은 속속 현장으로 복귀했다. 이는 파업 동력을 약화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이런 상황에서 집회 참가인원도 출정식 당시보다 크게 줄어들자 화물연대는 파업의 지속이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경찰, 국토부에 따르면 전날 집단 운송거부 관련 집회 참가인원은 3300명으로 집계됐다. 출정식(9600명) 대비 34% 수준으로 인원이 줄었다. 파업 철회와 관련 화물연대는 각 지역 본부별로 해단식을 갖고 현장으로 복귀할 방침이다.

정치권에선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와 관련 안전운임제 일몰 연장과 적용 품목 확대를 주장했지만, 국민의힘 거부로 우선 일몰 시한만 3년 연장하자는 정부·여당안을 받아들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