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부터 조합원 총투표 실시, 노정 강대강 대치 새 국면
화물연대 지도부 “대승적 결단, 조합원 결정에 맡기겠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달 24일부터 16일째 지속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파업 지속 여부가 오늘(9일) 조합원 투표에서 결정된다.
화물연대 지도부는 정부가 안전운임제 연장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보였고, 앞서 업무개시명령 발동에 따라 조합원 이탈이 가속화하는 등 파업 동력이 약해진 것으로 판단했다.
정치권에 따르면 화물연대 집행부는 지난 8일 긴급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5시간 넘게 논의한 끝에 이날 파업 지속 여부를 놓고 조합원 총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화물연대는 조합원 투표와 관련 ‘대승적 결단’이라고 주장했다.
2주 넘게 이어진 파업에도 정부가 교섭없이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자 방향을 선회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는 우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내놓은 '품목확대 없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안전운임제 연장 관련 논의를 지속하기 위해선 파업 철회 후 업무 복귀가 먼저라고 제안했다. 이에 화물연대 측은 “정부와 여당은 스스로 밝혔던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을 입법화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화물연대는 “조합원 피해를 최소화하고, 강경 탄압으로 일관하는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며 “조합원들의 결정이 있을 시 현장으로 복귀하고 국회 내 논의과정에 충실히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본인 사회관게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국가경제에 심각한 피해와 국민 불편을 16일 동안이나 끼치고 업무개시명령이 두 차례 발동되고 나서야 뒤늦게 현장 복귀가 논의되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다만 파업 철회 가능성이 열린 것은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원 장관은 "선 복귀·후 대화라는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다. 여기엔 어떠한 조건도 있을 수 없으며, 총투표에서 화물연대 구성원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화물연대 조합원 투표는 오전부터 실시되며, 결과는 정오쯤 나올 전망이다. 일각에선 사실상 출구전략이 막힌 화물연대의 불가피한 선택으로 본다.
운송거부로 산업계 피해는 이미 3조원을 넘었다. 화물연대의 투표를 기점으로 노정 간 ‘강대강’ 대치 상황이 새 국면을 맞을지 주목된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전날 서면 논평에서 “철강·정유·석유화학 등 대한민국 산업의 근간인 주요 품목들 손실액이 3조5000억원에 이른다. 지금도 손실액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국가 경제를 볼모로 하는 불법과 집단운송거부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했다.
- 추경호 "화물연대 파업 멈춰라… 불법 행위 엄정 대응할 것"
-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 한 총리 “책임 엄정히 묻겠다”
- 철강·석유화학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 코너로 몰린 화물연대
- 이상민 “화물연대 파업 손실액 3조5천억원… 끝까지 책임 묻겠다”
- [메타센서] 화물연대 집회인원 반토막… 식어버린 파업 열기
- 신한은행, ‘기업혁신대상’ 대통령상 수상
- 특수본, 前 용산서 상황실장 영장 기각 나흘 만에 재소환
- 하나은행-타다-SGI서울보증, 택시 드라이버 금융지원 MOU
- 캠코, 774억원 규모 압류재산 공매… 개찰 결과 15일 발표
- 서울신용보증재단-불광먹자골목 상인회, 맛집 체험 관광 성료
- '위믹스' 휴지조각인데… 대표는 회삿돈으로 '120억 시그니엘' 입주 논란
- KB국민은행, 국내 최초 ‘VR뱅킹 기술’ 개발 완료
- 정부 강공에 화물연대 '백기'...파업철회 투표 61.82% 찬성
- 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전국 시멘트·철강 출하 '정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