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노조 노사 협상으로 파업 참여 유보
업무개시명령으로 복귀하는 조합원 증가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화물연대가 지난달 24일부터 총파업에 나섰으나 집회 참여인원이 줄어들면서 동력을 잃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6일 화물연대 총파업에 동참한다고 밝히면서 다시 기세가 오를지 주목된다.
민주노총과 화물연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경기 등 전국 15개 거점에서 '전국 동시다발 총파업 총력 투쟁 대회'를 개최했다. 민주노총은 화물연대의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요구에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고 압박 수위를 높인 것에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파업 참여율이 점점 떨어져 민주노총의 총파업이 투쟁의 불씨를 살리기는 힘들 전망이다. 산하 노조들이 연달아 사측과 협상을 마무리하고 총파업을 철회한 점도 노조의 결집력을 약화시켰다.
최근 지하철 파업을 벌였던 서울교통공사 노조와 전국철도노조, 의료연대본부 등 산별노조 조직들은 사측과 협상 타결 후 파업을 철회했다.
이날 현대중공업 노조가 현대미포조선, 삼호중공업과 공동 파업을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지난 5일 36차 교섭에서 합의를 도출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노동부도 총파업이 커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고 이후 피해 최소화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파업을 진행 중이던 화물노조에서도 이탈자가 발생하고 있다. 업무개시명령 발동 후 부담을 느낀 조합원이 늘어난 탓이다. 정부는 압박 수위를 더 높이는 중이다.
정부는 시멘트 업종에 이어 정유·철강 등의 분야에도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검토 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유와 철강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해달라”고 정부에 지시했다.
기존 시멘트 업종에 대한 압박도 거세졌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파업으로 작업이 중단된 건설 현장을 찾아 “노조의 불법행위 발생 시 유관기관에 즉시 신고하면 경찰과 긴밀히 협조해 신속한 수사 및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사법치주의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13일 이상 이어진 파업으로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남부 지방에서는 레미콘 타설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날 기준으로 전국 1269개 건설 현장 중 751개(59.2%) 현장에 레미콘 타설이 중단됐으며 400여곳에서는 작업을 멈췄다.
- [메타센서] 벌써 피해만 3조원… 정유·철강 업무개시명령 언제 결행?
- [메타센서] 경기추락에도 슬금슬금 오르는 증시… 바닥 벗어났나
- [메타센서] 쿠팡-CJ제일제당 자존심 건 힘겨루기… 왜?
- [메타센서] 집값 뚝뚝 떨어지는 서울, 12월 '물량폭탄' 흥행 가능할까
- 우리은행, ‘네이버페이 신용대출비교’ 제휴 입점
- DGB대구은행, 장기 미거래 신탁계좌 찾아주기 캠페인
- 당정 “금융취약계층 은행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검토”
- 손병환 농협금융 회장 연임 무산… 차기 회장 이석준 유력
- KB국민은행, ‘2022 한국의경영대상’ 수상
- 박영선 "이재명, '사법리스크' 넘을 비전 없어… 공천권 내려놔야"
- 화물연대 백기 드나… 파업 연장이냐 종결이냐, 최대 '분수령’
- 공정위, 강릉 레미콘업체 17곳에 과징금 철퇴… 6년 간 담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