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입출식 저출성예금서 26조원 급감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지난 1월 시중 통화량이 9년 반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가계와 기업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에서 25조원 넘는 자금을 빼낸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5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803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보다 0.2%(6조7000억원) 줄었다.
통화량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3년 8월(-0.1%) 이후 9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증감률도 2011년 1월(-0.3%) 이후 가장 낮았다.
한은은 앞서 지난해 12월 통화량이 11월보다 0.2%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나 기초자료 보완, 정기 계절변동 조정(2018∼2022년 대상)을 거치면서 지난해 12월 수치가 0.1% 증가로 변경됐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예금,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정기 예·적금은 18조9000억원 늘었다. 반대로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에서 25조8000억원이 빠져나가 감소액이 2002년 12월 통계편제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안전 자산 선호 현상이 계속되면서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에 있던 자금이 금리가 높은 정기 예·적금으로 이동한 영향이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에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각 11조1000억원 유동성이 늘었다. 반면 기업의 경우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금전신탁 위주로 4조6000억원이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은 12월 평균 1231조4000억원으로 한 달 새 2.3%(28조9000억원)줄었다.
통화량이 감소한 것을 두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효과가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포인트 인상했다. 현재 한은 기준금리는 연 3.5%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