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3월 16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
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3월 16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지인 요미우리신문이 요즘 한국에서 일고 있는 '예스 재팬' 현상은 젊은층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반일 피로감'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신문 인터넷판은 17일, 좌파인 문재인 정권 하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었던 한국에서 일본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보수 윤석열 정권과 마찬가지로 한일 관계의 개선을 바라는 젊은층이 '붐'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번 한일 정상회담으로 해빙 무드가 한층 확산할 것 같다고 썼다.

신문은 "코로나19의 유행이 끝나고 해외여행이 증가하는 가운데 가장 인기있는 여행지는 일본이다"면서 "한국의 여행사에 의하면 지난 1월 판매된 국제선 항공권의 약 절반은 일본행이었다"고 했다.

도시별 해외여행지는 오사카와 후쿠오카, 도쿄가 상위 1~3위를 점했다면서 한국매체를 인용해 일본의 식민 지배에 저항했던 독립운동 기념일인 3.1절에도 일본행 항공편이 붐볐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관객 400만명을 돌파한 일본 애니매이션 영화 '술램덩크', 관객 100만명을 넘은 애니매이션 '스즈메의 문단속' 등을 일본 붐의 예로 들었다.

신문은 역사문제에서 일본을 강하게 비판했던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취임한 이후 반일감정이 충만했고, 2019년에는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에 반발해 일본제품 불매운동인 '노 재팬'운동도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하지만 이후 급격하게 변한 일본의 인기는 '예스 재팬 현상'이라고 불린다며 오래 지속된 '반일 피로'가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또 한국 젊은층에서는 역사문제를 장기적 과제로 두고 서로의 경제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확산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