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박성필 기자]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은행권 우려가 차츰 완화되면서 시장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나온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고 밝혔지만 인플레이션과 소비 둔화, 경기 악화에 주목하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15.12포인트(1.26%) 오른 3만3274.15에 장을 마쳤다.
또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8.48포인트(1.44%) 상승한 4109.3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08.44포인트(1.74%) 뛴 1만2221.91로 거래를 마감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인플레이션 지표를 주시했다. 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0% 올랐다. 1월 상승률 5.3%보다 다소 낮아졌다.
2월 미국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6% 상승했다. 전문가 예상치와 1월(4.7%)보다 둔화했다. 근원 개인소비지출 지수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수치다.
개인 소득과 소비 지출도 둔화됐다. 2월 개인 소득은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1월(0.6%)보다 낮은 상승률이다. 2월 소비지출도 0.2%로 1월 2%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국제유가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둔화 소식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30달러(1.75%) 뛴 배럴당 75.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10일 이후 최고치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국제금값은 달러강세 등에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6월물 금 가격은 전장보다 11.50달러(0.6%) 하락한 온스당 1986.20 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