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나눔디앤씨가 시행, 시공은 HL 디앤아이한라㈜가 맡아

HL 디앤아이한라㈜는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을 분양한다고 밝혔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7개동 ▲84㎡(전용면적 기준 )A타입 305세대 ▲84㎡ B타입 157세대 ▲111㎡ 19세대 ▲115㎡ 26세대 ▲136㎡ 124세대 ▲258㎡ 2세대 등 총 633세대 규모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은 명품 아파트의 필수조건을 모두 갖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여윳돈 투자자가 관심을 가질 만하다. 우선 국민관광지 ‘은파호수공원’ 인근에 위치하면서 도보통학이 가능한 초중학교를 두고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다양한 광역교통 인프라가 잇따라 준공되면서 사통팔달의 교통여건도 구비하게 됐다. 또 새만금트라이포트와 군산전북대병원 등이 들어서는 등 개발호재도 많다.
군산시에서 브랜드 인지도도 높은 편이다. HL 디앤아이한라㈜는 2008년 782세대 아파트를 성공리에 입주시켰고, 지난해 선보인 ‘군산 신역세권 한라비발디 센트로’는 평균 5.6대 1의 청약경쟁률로 완판시키기도 했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은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257만㎡ 규모의 은파호수공원과 은파근린공원, 지곡공원 등이 반경 1km 안에 자리하고 있다. 일부 세대에서는 은파호수공원을 직접 볼 수도 있다. 그만큼 쾌적한 주거환경을 기대할 수 있다.
사업지 인근에 군산초 군산동산중 등이 있어 안전한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특히 사업지에서 10m 거리에 군산초가 있어 은파호수공원 일대 조성될 아파트 가운데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초등학교 취학자녀를 둔 30~40대 학부모 실수요자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 단지 주변에 생활편의시설도 밀집돼 있다. 군산의료원, 롯데마트, CGV, 군산예술의전당 등이 반경 1.5km 이내에 있다.
쾌적한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세대를 군산지역에서 선호도가 높은 84㎡(전용면적 기준) 이상 중대형으로 구성했다. 아파트 실내 대부분은 맞통풍이 가능하고 채광과 환기가 우수한 4-Bay(방3-거실1) 판상형으로 설계했다. 단지도 채광에 유리한 남동향 위주로 배치했다.
실내 곳곳에 현관수납장과 펜트리 등을 비치해 수납공간도 넉넉하다. 근린생활시설과 주차공간을 분리하고, 주차장을 모두 지하로 넣었다. 대신 단지 지상은 차가 없는 공원처럼 꾸미고, 작은도서관 피트니스센터 멀티체육관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이 들어서는 일대는 최근 광역교통 인프라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사통팔달 교통망’을 갖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새만금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동서도로에 이어 지난해 말 새만금 남북도로 1단계가 개통되면서 국도 21호선과 새만금 동서도로가 연결됐다. 오는 7월에는 완전히 개통된다. 내년에는 새만금~전주 간 고속도로 준공도 예정돼 있다.
계획대로 도로 개통이 이뤄지면 아파트 단지에서 승용차로 4분 거리인 북로를 이용하면 산업단지나 새만금, 익산, 전주 등지로 이동하기가 빠르고 편리해진다. 2025년에 크루즈선 입항이 가능한 새만금신항이 준공되고, 2029년에는 새만금신공항도 들어설 예정이어서 서해안 및 동부권 지역 접근성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군산 내 주요 업무지역으로 출퇴근하기에도 편리하다. 반경 약 16km 거리에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군산공장 등 210개(2022년 1분기 기준)의 기업들이 입주해있는 군산국가산업단지와 629개 기업이 입주한 군산2국가산업단지가 있다. 또 반경 약 9km 거리에는 CJ제일제당 군산공장 등 67개 기업이 입주한 군산일반산업단지가 자리하고 있다. 새만금산단 6공구에는 10여 개의 자동차 배터리업체가 입주할 예정이다. 2026년까지 총 1조2189억원 투자 및 1225명 고용도 계획돼 있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 주변에는 초대형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등 개발호재도 풍부하다. 우선 ‘새만금 트라이포트(Tri-Port) 프로젝트’이다. 새만금 일대에 철도-공항-항만 등을 구축해 물류기능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야심찬 사업이다.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2030년까지 새만금항과 대야까지 총 47.6km 구간에 2개 역을 포함한 철도 노선을 신설하는 것으로, 1조33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새만금 국제공항 프로젝트는 군산공항 서쪽 1.3km 떨어진 곳에 활주로 및 계류장, 여객터미널을 짓는 사업으로, 2029년 개항을 목표로 2024년 착공될 예정이다. 총사업비로 8000여억 원이 투입되며, 공항이 개항되면 군산공항과 통합 운영된다.
새만금신항만 사업은 새만금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물동량을 처리하고, 해양관광과 레저기능이 복합된 미래지향적인 종합항만을 건설하는 것이다. 2030년까지 1단계, 2040년까지 2단계로 나뉘어 안벽 6선석, 방파제 3.5km, 호안 16.3km, 도로 4.1km 등을 조성하게 되는데, 모두 3조2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 사업지에서 3.7km에 떨어진 사정동에 종합의료시설인 ‘군산 전북대병원’도 건설된다. 10만여㎡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0층에 500병상 규모로 조성 예정인데, 2026년 말 또는 2027년 상반기에 준공 목표로 올해 중 착공된다.
지난 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선포도 호재다. 전북연구원에 따르면 현대조선소가 재가동되면 1989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3600명의 인구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이차전지 글로벌 기업인 ‘GEM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의 투자계획도 빼놓을 수 없다. 이 회사는 지난 3월 24일 전북도, 새만금개발청,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새만금에 생산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투자규모만 1조 2000억 원이 넘고, 신규 채용만 1100명이 넘는 매머드급 투자여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군산 한라비발디 더프라임’은 (유)나눔디앤씨가 코리아신탁에 위탁하고 시공은 HL 디앤아이한라㈜가 맡는다. 견본주택은 전북 군산시에 4월 중 오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