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챗 GPT 등 이른바 생성AI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선진 7개국(G7) 정상들이 '책임있는 AI' 실현을 위한 행동계획을 채택하기로 했다.

19일 일본 요미우리신문 온라인판에 따르면 G7 정상들은 오는 29~30일 군마현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책임있는 AI' 실현을 위한 행동계획을 채택할 방침이다.

이는 대화형 AI인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 AI를 둘러싸고 최근 사회적 위험 논란이 확산하자  AI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다.

G7이 AI 행동계획을 채택하는 것은 처음으로, 급속히 진화하는 AI의 가능성과 함께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다.

또 AI 거버넌스 외에도 인터넷 공간에서의 신뢰성 있는 자유로운 데이터 유통과 차세대 고속통신인 6G 비전 등에 대한 별도의 문서 채택도 검토하고 있다.

G7은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민주주의에 기초한 인간중심의 신뢰할 수 있는 AI를 목표로 내걸기로 했다.

현재는  각국이 각자의 법과 제도나 사업자와의 소통을 통해 AI를 규제하고 있지만 향후 G7간 기술이나 평가기준을 공유해 일관성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인터넷 공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짜뉴스 등에 대한 대책도 마련하는 한편 G7 공통의 행동계획도 만들 예정이다. 국가간 데이터 이전이 신뢰성 있는 자유로운 형태로 이뤄지도록하는 새로운 틀도 만들 방침이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고도로 첨단화한 AI에 대한 리스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관련법 제정 등 규제에 본격적으로 나설 태세다.

유럽의회의 브란도 베니페이(이탈리아), 드라고스 투도라케(루마니아)  의원 등은 17일 성명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AI에  대해 정치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AI 관련법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규제 환경과 관례에 적용할 수 있는 청사진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AI로 인해 우리 문명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할 수 있다. 규제를 통해 인류가 AI의 혜택을 누리고, 더 비관적인 미래 시나리오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