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도 사용 가능… 지원 가능 언어 40개로 늘릴 예정
답을 어디서 가져왔는지 확인하는 소스출처표기 기능 추가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어라인 엠피씨어터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키노트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어라인 엠피씨어터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키노트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챗GPT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을 내놓으며 챗GPT와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다.

10일(현지시간)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사람처럼 묻고 답하는 인공지능 챗봇 바드(Bard) 서비스를 전 세계 180개국에서 개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바드 출시 후 한 달 반 만에 전면 오픈이다. 바드는 그동안 일부 국가에서 제한적으로 운영됐다. 이날부터 대기자 명단을 없애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갔다. 

구글에 따르면 바드에는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 팜2(PaLM)가 탑재됐다. 한국어와 일본어도 지원한다.

씨씨 샤오 구글 바드 담당 부사장은 “바드는 영어 외에 더 많은 언어로 제공될 예정”이라며 “오늘부터는 일본어와 한국어로 바드와 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글은 조만간 지원 가능 언어를 40개로 늘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각적인 분석을 사용해 관련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글 렌즈도 결합할 계획이다. 답을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확인하는 소스 출처 표기 기능도 추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5300억개의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과학과 수학 영역에서 추론도 가능하며, 코딩 작업도 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챗 GPT에 이어 바드도 본격적인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챗봇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