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이 마이크론 반도체 수입을 금지할 경우 그 부족분을 한국이 메워주지 말라고 요구했다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중국이 마이크론 반도체 수입을 금지할 경우 그 부족분을 한국이 메워주지 말라고 요구했다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미국 백악관이 중국이 마이크론 메모리반도체 수입을 금지할 경우 중국의 메모리반도체 부족분을 한국 업체들이 메우지 말 것을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24일 보도했다.

파이내셜타임스는 임박한 한미 정상회담에 정통한 4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이같은 요청을 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이달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3대 강자인 마이크론에 대한 '안보심사'에 들어갔다.

중국 사이버공간국이 마이크론을 조사한 후 징벌적 조치를 취할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마이크론은 지난해  매출 308억 달러 중  25%를 중국과 홍콩에서 올렸다. 

미국 측은 중국 사이버공간국의 마이크론에 대한 '안보심사'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첨단반도체 중국 수출 금지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복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은 중국 당국이 마이크론 반도체의 수입을 금지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판매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메모리반도체 부족분을 메워주지 말라는 것이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분야에서 중국에 맞서기 위해 동맹국들과 협력해왔지만, 동맹국들에게 이런 구체적인 요청을 한 것은 처음이다.

이와관련 주미 한국대사관과 삼성 측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고, SK하이닉스는 한국정부로부터 요청을 받은 바 없다고 했다. 마이크론도 언급을 거부했다.

백안관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국과 한국 정부가 최첨단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포함해 국가적·경제적  안보이슈에 대한 협력을 심화시키는 역사적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