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중국이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미국의 반도체 공세 강화에 한국이 장단을 맞출 가능성을 경계했다.
25일 중국의 관변 대외 매체인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패권을 유지하고 이기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공급망의 '분리'와 '단절'을 추진하고 동맹국들에게 중국 견제에 동참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는 관련국 정부와 재계가 눈을 똑바로 뜨고 옳은 일을 하며, 다자간 무역시스템을 보호하고, 세계 산업과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이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에 맞춰 미국의 대(對) 중국 반도체 규제에 함부로 동참하지 말라는 뜻이다.
중국은 지난달 31일 미국의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대해 '사이버 보안심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대해 미국은 중국이 마이크론의 수입을 금지할 경우 생길 반도체 부족분을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워주지 말라고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이 미국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면서, 이는 한국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독립성과 이익을 희생하면서 '소모품'이 된다는 것으로, 지속불가능하며 자멸적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중국의 기술분석가인 마지화는 "미국은 메모리 반도체시장에서 중국에 큰 타격을 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결과적으로 한국 반도체 업체들을 반도체 전쟁의 최전선에 내몰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국익을 우선시하는 지도자라면 한국 기업의 중국 사업을 제한하는 미국의 지시에 따르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는 한국의 반도체 대기업들에게 엄청난 손실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기술분석가인 샹리앙은 "중국은 양쯔메모리와 같은 국내 반도체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대외의존도가 감소했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직면하게 될 진짜 문제는 미국의 명령에 따르느냐 여부가 아니라 한국 기업들이 중국의 경쟁자들에게 시장을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 정치법학대의 한국학과 한시안둥 교수는 최근 윤 대통령의 대만 문제 발언을 겨냥해 "윤 대통령이 대만 문제에 대해 매우 공격적이고 이례적인 발언을 했는데 이는 한국 외교라인의 무지에서 비롯된 사고가 아니라 윤 대통령의 방문에 앞서 한국 정부가 미국에 충성을 증명하기 위한 의도적 행동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