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업비트 및 빗썸 지갑 통해 종잣돈 입금
가상자산업계, 위믹스 코인 매수시점·출처 주목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가상화폐 보유 논란과 관련해 검찰이 지난 15일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를 압수수색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가상화폐 보유 논란과 관련해 검찰이 지난 15일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를 압수수색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검찰이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거액 코인 투자 논란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하면서 관련 의혹이 풀릴지 주목된다.

검찰이 김 의원의 거래소 전자지갑과 이에 연관된 실명계좌 거래 내역 등을 분석하면 자금 출처 등과 관련한 의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17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이준동 부장검사)는 지난 15일부터 이틀 간 가상화폐거래소 빗썸과 업비트,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를 압수수색해 김 의원의 가상화폐 거래내역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 거래내역을 추적해 김 의원이 코인에 투자한 ‘시드머니(종잣돈)’를 어떻게 조성했는지 들여다 볼 방침이다. 자금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 이용 등의 단서도 포착될 수 있다.

현재까지 김 의원이 보유한 것으로 드러난 전자지갑은 업비트와 빗썸, 카카오 클립, 위믹스월렛 등 4개다. 이 중 김 의원이 종잣돈을 입금한 것으로 알려진 업비트 관련 계좌와 지갑에 관심이 쏠린다.

김 의원은 지난 8일 입장문에서 “2021년 1월 LG디스플레이 주식 전량을 매도한 대금 9억8574만원을 가상자산의 초기 투자금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당시 입금 내역과 자금 출처, 이후의 코인 거래내역 등을 살펴보면 김 의원의 정치자금법 및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여부, 조세포탈 여부 등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업계는 김 의원의 위믹스 코인 매수 시점과 출처에 주목하고 있다. 만약 LG디스플레이 주식 매도대금과 별개의 자금이 위믹스 매입에 투입됐다면 검찰은 돈의 출처를 추적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인 수사를 경험해 본 한 수사당국 관계자는 “(압수수색을 통해 김 의원의) 가상자산 거래 내역을 확보했으니 이를 추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다”라며 “결국 이것이 로비에 사용됐는지 여부나 정치자금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수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