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항균 성능을 갖춘 유리 파우더 개발에 성공했다. 유리 파우더를 만들기 전 단계의 조각 유리(컬렛)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항균 성능을 갖춘 유리 파우더 개발에 성공했다. 유리 파우더를 만들기 전 단계의 조각 유리(컬렛)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항균 작용을 하는 ‘항균 유리 파우더’, 물에 녹아 해양 생태계 복원 등에 적용 가능한 ‘수용성 유리 파우더’ 등을 생산하는 신산업 추진에 나선다. 

LG전자는 17일 독자적인 유리 조성 설계기술과 가전제품 실사용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항균 성능을 갖는 유리 파우더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리 파우더란 유리를 분쇄해 얻는 미세한 입자다. 

특히 유리계 소재의 경우 화학적·열적·변색 안정성뿐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을 갖췄다. 항균 유리 파우더는 플라스틱, 섬유, 페인트, 코팅제 등 다양한 소재를 만들 때 활용할 수 있다.

항균 소재 역시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실제 헬스케어을 리봇한 포장, 의료, 건축자재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소재에 적용되는 등 활용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자사 가전제품에 항균 유리 파우더를 적용했다. 손잡이와 같은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할 때 첨가해 고객이 제품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다.

또 회사는 항균 유리 파우더의 강점인 유리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방출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수용성 유리까지 개발했다. 수용성 유리는 물에 녹으면 무기질 이온 상태로 변해 바닷속 미세조류와 해조류 성장을 도와 해양 생태계를 복원에 기여할 수 있다.

LG전자는 이와 관련 항균 유리 파우더사업을 필두로 신개념 기능성 소재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측은 시장 규모가 올해 기준 24조원 규모로 전망하고 있으며, 사업 범위를 이후 해양 생태계 복원시장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앞서 회사는 1996년 유리 파우더 관련 연구를 시작했고, 관련 특허는 219건에 달한다. 경남 창원 스마트파크에 연간 4500톤 규모의 생산 설비도 마련했으며, 신사업 추진을 위해선 지난해 정관 변경을 통해 ‘유리 파우더 등 기능성 소재 제작 및 판매업’을 추가했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 사장은 “앞선 기술력과 노하우로 기존 유리 소재가 가진 고유한 한계를 뛰어넘어 활용 영역을 지속 확장할 계획”이라며 “기능성 소재 사업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끌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가속하는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