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임금 인상·정년연장 등 요구
20차례 협상 끝 노사 합의 불발돼
창립 이래 첫 파업 가능성 높아져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 노사의 임금단체 교섭이 창립 55년 만에 처음으로 결렬됐다. 노사는 지난 23일까지 20차례 교섭에 나서며 합의안 마련에 나섰으나, 끝내 불발됐고 파업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 임단협 교섭이 결렬된 사례는 1968년 창립된 이래 처음이다. 노사 간 양측의 이견차가 컸던 것이 교섭 결렬의 배경이다. 앞서 노조는 사측에 13.1%대의 임금인상과 포스코홀딩스 주식(100주) 등을 요구했다.
또 임금피크제 없는 정년 연장(60세→61세)도 노조 측 요구안에 포함됐다. 하지만 사측이 내민 안에는 핵심인 기본급 인상과 정년연장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 있지 않았다. 노조의 요구안이 과도하다는 게 이유다.
이에 노조는 사측 안을 거부하고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또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하고 쟁의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에 나설 예정이다. 투표에서 쟁의행위 안건이 가결될 경우 창립 첫 파입이 현실화될 수 있다.
당장 노조는 사측이 교섭 재개를 요청함에 따라 곧장 파업에 나서지는 않을 계획이지만, 사측이 여전히 정년연장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만큼 입장차를 줄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측에선 이와 관련 “노사 간 입장을 좁히는 노력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 노조가 교섭 결렬을 선언해 안타깝다”며 “최선의 결과를 위해 성실하게 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실제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전체 산업계에 미칠 파장을 우려한다. 파업으로 인해 철강재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완성차, 조선, 전자 등을 비롯한 후방산업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 추가 교섭이 진행되더라도 노사 간 입장차가 단박에 좁혀질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며 “정년연장을 주장하는 노조의 요구안을 사측이 받아들일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 포스코퓨처엠. 중장기 '미래 비전' 공개… "2030년 매출 43조원 달성"
- 포스코이앤씨, 해상풍력사업 진출… 신재생 미래성장산업 견인
- [메타센서] 현대차·포스코 '정년연장' 임단협 쟁점 부상… 실현될까?
- 포스코퓨처엠, 친환경 제련기술 활용해 필리핀서 니켈 생산 추진
- [산업 이슈 픽] 국내 철강사, 2분기 실적 개선… 다음목표는?
- 추석 앞두고 치솟는 '과일값'… 이상기후에 물가 더 뛴다
- [메타센서] 현대차·기아 노조 파업수순… 진짜 파업 결행하나?
- 포스코 노조, 파업안 가결… 55년 만에 파업 결행하나
- 포스코 노조, 기본급 10만원 인상·주식 지급 등 임협안 박빙 가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