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LFP 배터리 사용
주행거리는 줄지만 가격은 확 낮출 수 있어
기아, KG모빌리티, 테슬라까지 LFP 차량 출시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한 저렴한 전기차가 시장에 나온다. KG모빌리티와 기아, 테슬라는 가격을 확 낮춘 LFP배터리 전기차를 출시하며 지지부진한 전기차 성장세에 반전을 모색한다.
포문을 연건 KG모빌리티다. 지난달 20일 출시한 자사의 첫 전기차 ‘토레스 EVX’에 중국 배터리업체 BYD의 LFP 배터리를 넣었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는 짧지만 가격은 30%정도 싸다. 토레스 EVX는 보조금을 더하면 3000만원대 후반에도 구매가 가능하다.
기아는 지난달 21일 선보인 ‘레이 EV’에 중국 CATL의 LFP 배터리를 탑재했다. 보조금을 지원받으면 2000만원대 초반에 구매할 수 있다. 가성비는 좋지만 1회 충전으로 갈 수 있는 최대 주행거리는 205㎞로 상대적으로 짧다.
앞서 테슬라도 중국산 LFP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Y를 한국에 들여왔다. 기존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모델Y보다 2000만원 넘게 저렴하지만 주행거리는 기존 모델(약 500㎞)보다 짧아진 350㎞ 정도다.
전기차 제조사들이 중국산 LFP 배터리에 눈을 돌리는 배경엔 전기차시장 성장이 정체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배터리를 바꿔 생산원가를 절감해 승부수를 던졌다. 배터리가 전기차 원가의 30~40%를 차지한다는 걸 고려하면 저렴한 배터리를 쓰는게 가격 하락에 가장 중요하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초기에는 주행거리가 전기차 구매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지만 살 사람은 다 산 것으로 보여지는 최근엔 가격이 중요해졌다”며 “각국 정부의 보조금도 점차 줄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획기적으로 떨어져야 수요가 살아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 KG모빌리티, 전기차 '토레스 EVX' 출시… 4750만원부터
- 올해 신규등록 택시 10대 중 4대는 '전기차'
- 中 전기차 비야디, 현대차·포드 넘고 '세계 4위' 안착
- SK에코플랜트, 美 켄터키에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공장' 건설
- 재계 총수들, 추석 황금연휴에 국내외 현안·주요사업 챙긴다
- CATL 배터리 장착 '테슬라 모델Y'…전기차 보조금 싹 쓸어간다.
- 내연차보다 저렴해진 전기차 가격, 다시 수요 폭발하나?
- LG엔솔의 '변심'… 중저가 LFP 배터리 양산 선언
- KG모빌리티, 디자인코리아 2023 참가… 토레스 EVX 출품
- KG모빌리티, 교통 소외지역 대상 EV 충전시설 지원
- GS글로벌, BYD 수입 뛰어들어 시장 참패한 까닭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