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세, 13~18세가 특히 높아

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7주차(11월 19~25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45.8명을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7주차(11월 19~25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45.8명을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양성모 기자]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환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7주차(11월 19~25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45.8명을 기록했다.

2023~2024년 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기준 6.5명의 약 7배, 지난해 동기 13.9명의 약 3.3배 규모다.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는 0세 20.5명, 1~6세 35.3명, 7~12세에서 100.9명, 13~18세 104.0명, 19~49세 53.2명, 50~64세 24.4명, 65세 이상 11.8명 등이었다.

그 중 7~12세와 13~18세에서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가 가장 높았다. 

질병청에 따르면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호흡기 질환으로, 심한 경우 입원이 필요하거나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 어린이, 임신부, 폐질환·심장질환 환자, 특정 만성질환 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 등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다.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임산부, 65세 이상 고령층은 인플루엔자 백신을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질병청은 전국 196개 의원에서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정보를 수집해 발표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감염됐다면 해열 후 24시간이 경과해 감염력이 소실될 때까지 등교, 등원, 출근 등을 하지 않고 집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는 0세 20.5명, 1~6세 35.3명, 7~12세에서 100.9명, 13~18세 104.0명, 19~49세 53.2명, 50~64세 24.4명, 65세 이상 11.8명 등이었다. (사진=질병관리청)/서울와이어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는 0세 20.5명, 1~6세 35.3명, 7~12세에서 100.9명, 13~18세 104.0명, 19~49세 53.2명, 50~64세 24.4명, 65세 이상 11.8명 등이었다. (사진=질병관리청)/서울와이어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