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양성모 기자]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에 이어 중국의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까지 국내에 확산하자 제약사들이 해열제·항생제 등의 증산에 나섰다.
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 47주차(11월 19∼25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45.8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배 넘게 증가했다.
이에 대원제약은 겨울철 독감 유행에 대응해 해열제·진해거담제 등 감기약 생산량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있다. 한미약품도 해열제 등 품목의 생산량을 늘린다.
일동제약은 독감 유행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 우려로 인해 해열제 항생제 등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의약품 원료 확보 등을 검토 중이이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지난 10월부터 현재까지 항생제 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0% 증가했다. 진해거담제 생산은 15%가량 늘었다.
동아제약의 어린이 해열제 '챔프'의 매출도 9월 3억5600만원에서 10월 4억2300만원으로 증가했다.
독감 유행에 이어 중국 등에서 유행하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우려가 제품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을 검출 진단 키트를 보유한 국내 기업들은 제품 품목 허가와 공급 준비에 나섰다.
마이코플라스마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영역에 있는 미생물로, 폐렴이나 관절염 등을 일으킨다. 다만 항생제 내성이 있는 경우, 플루오로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 등 2차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제 치료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마이코플라스마 유행 우려와 국내 독감 유행으로 소아과 어린 환자들이 넘쳐나면서 챔프를 상비약으로 구비해놓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