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내 원유·LNG 도입 차질 문제 없어"
중동정세 영향 최소화, 유관기관·업계와 공조

미국과 영국 연합군은 지난 12일(현지시간) 글로벌 물류길인 홍해를 지나는 상선들을 무차별 폭격한 예멘 반군 ‘후티’ 근거지를 공습하는 등 중동정세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석유·가스 수급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해 비상대응 메뉴얼 등을 논의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영국 연합군은 지난 12일(현지시간) 글로벌 물류길인 홍해를 지나는 상선들을 무차별 폭격한 예멘 반군 ‘후티’ 근거지를 공습하는 등 중동정세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석유·가스 수급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해 비상대응 메뉴얼 등을 논의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홍해를 둘러싼 중동정세 불안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14일 국내 석유와 가스 수급 현황과 유가 영향을 점검하기 위한 긴급 상황 회의를 개최했다. 

앞서 미국과 영국 연합군은 지난 12일(현지시간) 글로벌 물류길인 홍해를 지나는 상선들을 무차별 폭격한 예멘 반군 ‘후티’ 근거지를 공습했다. 이에 중동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최남호 2차관 주재로 석유·가스 수급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석유·가스 비축현황과 비상대응 매뉴얼 등을 살폈다.  

회의에는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에너지공기업과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4개 민간정유사가 참석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중동정세 불안으로 인한 국내 원유·액화천연가스(LNG) 도입 차질 문제는 없는 것 파악됐다. 

중동 인근에서 항해 또는 선적 중인 유조선 및 LNG 운반선도 모두 정상운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국제유가는 중동사태 장기화 등에 따라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는 국민 부담 최소화를 위한 업계의 노력을 당부했다. 

최 2차관은 “중동은 한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72%를 공급하는 등 국내 에너지 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큰 지역”이라며 “중동 정세로 국민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정부와 유관 기관, 업계가 긴밀히 공조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