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환수율 다시 상승세
은행 시중금리 인상 영향, 화폐 수요 감소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67.1%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67.1%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이 2018년 이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1년 코로나 팬데믹때 20% 안팎에 그쳤던 환수율은 대면 거래 활성화, 고금리 여파 등으로 다시 67%대로 상승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67.1%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18년 67.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앞서 코로나 펜데믹 시기 5만원권 환수율은 2019년 60.1%에서 2020년 24.2%, 2021년 17.4% 등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하지만 2022년 56.5%로 환수율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은은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 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 유통이 정상화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따른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 수요가 줄어든 것도 5만원권 환수율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앞으로 비현금 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 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향후 환수율 상승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 최초 발행됐다. 통상적은 유통 수명은 15년 내외이며, 조만간 수명을 다한 손상권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환수율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의미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금리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국민의 화폐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