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전년비 3.3%↑, 영업익 5년 연속 1조 넘어
가전 신제품 출시·사업재편 성과 등 '실적 견인'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가전사업 외 사업영역 확대 등의 성과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매출은 역대 1분기 중 최대로 영업이익 역시 5년 연속 1조원을 넘어서는 등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LG전자는 연결기준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1조959억원, 1조332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시장 수요회복 지연 등의 불확실성이 높았지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시장 경쟁 심화와 재료비 인상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영업이익 감소에도 프리미엄시장에서 공고한 경쟁력을 유지하는 등 견조한 수익성을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별로는 캐시카우에 해당하는 생활가전사업에서 올 1분기 출시한 의류관리기 ‘올 뉴 스타일러’, 올인원 세탁건조기 ‘워시콤보’, 일체형과 대용량의 장점을 갖춘 세탁건조기 ‘워시타워’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이 높은 호응 속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시장별 특성과 수요 변화에 맞춰 라인업을 하방 전개하고 볼륨존 공략 등의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또 B2B에 해당하는 냉난방공조(HVAC), 빌트인, 부품솔루션 등의 확대도 지속됐다.
특히 LG전자는 “전 세계 수억대 제품을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콘텐츠와 서비스사업이나 소비자직접판매(D2C) 등이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전사 영업이익 기여도를 높이고 있어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자원 투입, 원자재 및 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체계의 유연성 제고 노력 등도 안정적 수익성에 기여했다. 전장사업에서 그간 확보한 수주잔고도 점진적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는 모앵새다.
실제 수주잔고는 지난해 말 90조원대 중반에서 올 상반기 1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LG전자는 이와 관련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은 올해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역량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V사업에서도 글로벌 1위 올레드 TV와 프리미엄 LCD인 QNED TV를 앞세운 듀얼트랙 전략으로 시장 수요에 대응하는 한편 비즈니스솔루션사업은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구현한 그램 신제품과 게이밍모니터 등 전략 제품을 앞세워 고객경험 혁신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LG전자 관계자는 "고객이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원하는 가전과 제품 관리 등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구독사업으로 생활가전 패러다임 변화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며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 가전으로의 진화도 본격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전자가 이번에 발표한 1분기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로 각 사업본부별 세부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공개된다.
- 중국이 점령한 국내 로봇청소기시장… 삼성·LG '도전장'
- LG전자, '공감지능'으로 AI가전시장 선도
- LG, 전장사업 성공 이을 제2 미래 먹거리는?
- LG전자 "XR·전기차 충전 등 신사업 집중… 수익 확대할 것"
- LG전자, AI 스마트케어 기능 탑재 '휘센 뷰 에어컨’'출시… "바람 방향·세기도 조절"
- 한신공영, 중대재해 근절 기원 '안전의 날 행사' 실시
- 삼성·LG전자, 1분기 성적표 공개… '반도체·B2B' 호실적 견인
- LG전자 워시타워·워시콤보, 복합형 세탁건조기시장 대세로 부각
- LG전자, ‘스마트병원 솔루션사업’ 가속 위한 MOU 체결
- [산업 이슈 픽] LG전자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알파블'… 개발로 이어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