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자회사 현대IMC 중심으로 희망퇴직 단행
현대IMC 포항공장서 생산ㆍ정비 부문 사업 자회사
美 관세부과 본격화 시 포스코 등 K-철강 확산 우려

[서울와이어 박제성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과 중국 저가 철강 공세에 국내 철강업황이 흔들리는 가운데, 현대제철 자회사가 희망퇴직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 철강산업이 수익성에 영향을 받을 경우, 인력조정에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현대제철 자회사 현대IMC, 희망퇴직 접수 신청
1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자회사인 현대IMC는 오는 21일까지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받는다. 회사는 퇴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잔여 근속 50%(최대 허용기준 36개월)를 인정하고, 자녀 학자금 지원 1인당 1000만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제철은 현재 현대IMC의 근무 유연성을 확보 차원에서 충남 당진에 위치한 또 다른 현대제철 자회사 현대ITC로의 전환 배치로의 신청도 받고 있다. 전환배치를 신청한 직원은 100명이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내부에서는 모회사인 현대제철도 조만간 희망퇴직을 받을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 2022년 2월 한 차례 희망퇴직을 받은 바 있기 때문에서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초 포항2공장 현대제철 직원들을 당진 공장으로 전환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현대제철 포항 공장을 중심으로 인력 수요 감소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같은 전환 배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사례는 국내 굴지의 포스코까지도 경험한 바 있다. 포스코 등 국내 주요 철강사들은 지난해 일부 공장의 셧다운(잠정 가동중단)을 결정했다.
중국발 여파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인데 포스코는 지난해 1선재공장, 포항 1제강공장을 잠정 폐쇄하며, 해당 공장 전(全) 직원들을 타 부서 등으로 재배치한 바 있다.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을 작년 11월 직원들에게 전체 가동 중단에 대한 공문을 발송했다. 하지만 한 달여 만에 결정을 철회하고, 축소 운영하기로 했다.
당시 철회 이유는 노동조합(노조)의 반발로 제강(용광로에서 철강생산) 및 압연 공정 모두 기존 4조 2교대 체제에서 2조 2교대로 전환에 따랐기 때문이다.
◆ 트럼프 관세부과로 K-철강, 올해 희망퇴직 ‘노심초사’

문제는 올해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대로 한국 등 전세계를 대상으로 쿼터제(철강 수출 할당제)를 폐지하고, 철강 관세가 현실화되면 국내 철강업계가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의 한파가 불어 닥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산업연구원 이재윤 연구위원은 "트럼프 관세부과가 본격화 될 경우 국내 철강업계 개편도 중장기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희망도 있다. 오는 2월말 예정인 중국산 후판(두께 6mm 철판) 반덤핑에 대한 예비 판정이 예고됐는데 기획재정부가 반덤핑을 확정할 경우 국내 철강업계의 수익이 작년보다는 소폭 회복될 조짐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NH농협투자증권 이재광‧이승영 연구원은 “중국 현지 경기부양에 따른 중국 내수 개선이 중국의 철강 수출 감소로 이어져 업황 회복이 예상된다”며 “이에 더해 후판과 열연 저가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반덤핑 제소가 통과 될 경우 국내 철강제품에 출하량 증가와 가격상승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트럼프의 25% 철강 관세, 오히려 K-철강에 기회?
- 현대제철, 고객소통 강화 위해 홈페이지 리뉴얼
- 현대제철 노조, 11일 총파업 돌입…성과급 여전히 '온도차'
- 트럼프, 전세계 보편 철강관세 부과 시작되나…韓도 포함
- 철강업계, 중국발 반덤핑에 트럼프 변수까지…일본과도 관세 신경전
- 설 연휴에도 불 꺼지지 않는 K-철강사
- 트럼프 자동차·반도체 25% 관세…피할 방법은?
- 美 의약품 관세 25%에 제약바이오 업계 혼란⋯"경쟁 전략 준비해야"
- 현대제철, 고객사와 신년회 개최…'미래전략 공유'
- 퇴직연금 '머니무브'… 실물이전 3개월만에 적립금 2.4조원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