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현철 기자]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계 일각에서 경선 흥행과 당내 통합을 위해 일반 국민이 100%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주장이 제기됐다. 사실상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대한 반기 성격이 짙어 향후 당내 권력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국혁신당은 4일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후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모든 야권 정당의 대선 후보가 참여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각 정당의 모든 대선 후보가 제한 없이 참여하고, 시민사회가 추천하는 인물도 후보로 나설 수 있는 '원샷' 방식"이라며 "결선투표제를 도입해 1차 컷오프, 2차 경선, 3차 결선투표를 단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야권 단일화를 제도화함으로써 본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선거인단이 대선 후보와 공약에 각각 투표하도록 해 최종 후보를 배출하지 못한 정당과 시민사회도 정책 반영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명계 전직 의원 모임인 '초일회' 간사를 맡고 있는 양기대 전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비명계 대선주자들은 이재명 대표를 위한 들러리 경선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화합과 통합을 위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탄핵 정국이라는 유리한 국면에도 이 대표의 지지율이 30%대에 갇혀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선을 보다 역동적이고 개방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부겸 전 총리와 김동연 경기지사 측도 "이재명 대표가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해볼 만한 희망이 있어야 경선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한편 민주당 지도부는 조기 대선이 현실화될 경우 준비 시간이 부족한 점을 들어 경선 룰 변경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민수 대변인은 "탄핵이 인용되면 한 달 내 경선을 치러야 하는데, 그 안에 경선 룰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완전국민경선제를 거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친명계 지도부는 경선 룰 변경에 부정적이지만, 이 대표가 절대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경선을 치를 경우 대권 주자 추대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한 정치평론가는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택하면 정당에 대한 신뢰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며 "지금 상황이라면 경선 과정에서 권리당원의 영향력이 강한데,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되면 보다 폭넓은 지지를 받을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