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영향에 미국 내 생산량 증가, 수출은 반비례해 감소

현대차그룹의 미국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미국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한국 자동차 산업이 ‘트럼프 관세’ 영향권에 들어서며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20% 가까이 급감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 4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4월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지난해 4월보다 3.8% 감소한 65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물량 기준으로는 8.8% 줄어든 24만6924대로 집계됐다.

올해 4월까지 누적 기준으로는 238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수출 규모가 지난해 대비 축소한 것은 대미 수출량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지난달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8억9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9.6% 감소했다. 1~4월 누적은 106억6000만달러로 13.6% 줄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지난달 3일부터 부과한 수입차 25% 품목 관세 때문에 대미 수출이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HMGMA)’가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해 한국산 물량이 준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대미 수출은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되고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 신공장 가동이 본격화된 영향 등으로 지난해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향 자동차 수출은 감소했지만 유럽연합(EU)와 아시아 지역의 수출은 늘며 전체 자동차 수출 감소 폭을 축소했다.

4월 EU 수출은 7억5000만달러로 26.7% 늘었고, 기타 유럽은 4억5000만달러로 11.6% 증가했다. 아시아는 4억4000만달러로 53.9%, 중동은 4억3000만달러로 4.5% 각각 증가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