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취향 변화…경기 불황에도 경차 시들
눈에 띄는 신차 없는 점도 경차 외면 부채질

캐스퍼 스튜디오 부산 내부.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캐스퍼 스튜디오 부산 내부.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통상 경기 불황에 더 잘 팔리는 것으로 알려진 경차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대형차 선호 추세와 신차의 부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올해는 7만대 판매도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시장에서 경차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4% 급감한 5626대가 신규 등록됐다.

올해 1~5월 누적 경차 등록 대수도 3809대로, 전년 동기(4만6517대)보다 33.8% 급감했다. 

이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경우 올해 경차 판매량은 10만대는 물론 7만대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경차 기피 현상은 지난해부터 조짐이 보였다. 지난해 경차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20.0% 감소한 9만9211대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국내 경차 판매량은 2012년 21만6221대로 최다를 기록한 후 매년 감소해 2021년에는 10만대에 못 미치는 9만8781대까지 감소했다.

다만 2021년 9월 현대차의 첫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캐스퍼’가 출시되고, 해당 차량이 크게 인기를 끌면서 이듬해인 2022년 연간 판매는 13만4294대까지 확대됐다.

2023년에는 ‘레이EV’ 등 전기 경차가 출시되며 인기를 이어가 그해 12만4080대까지 10만대 이상 판매량을 유지했지만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자동차 업계는 경기 불황에도 레저용 차량(RV), SUV, 대형차 등에 소비자 선호가 몰리며 경차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한다. 또 눈에 띄는 신차가 없어 판매량 감소에 부채질을 했다. 

국내 경차의 대표 주자였던 쉐보레 ‘스파크’가 단종된 후 현재 국내 시장의 경차 모델은 기아 ‘모닝’, ‘레이’, 레이EV, 캐스퍼가 유일하다.

여기에다 캐스퍼의 전기차 버전인 ‘캐스퍼EV’는 크기가 커지며 소형차로 분류된 것도 경차 판매량을 끌어 올리지 못하는 이유로 지목된다. 완성차업체들도 수익성이 낮은 경차보다는 중대형 차종에 집중하는 것도 이런 추세를 가속화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경기 불황에 경차가 인기라는 것은 옛말”이라며 “완성차 업체들도 경차 개발에 더이상 투자를 안하고, 기존 모델들도 노후화 되자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