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건설업 부진, 소비도 보합세로 반등 실패
설비 투자 3개월 연속 감소, 건설 투자도 위축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5월 제조업과 건설업 등 주요 산업의 부진과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산업생산과 투자가 동반 감소하는 등 경기가 위축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소비도 전월 대비 보합에 그치며 반등에 실패했고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표와 향후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선행지표 모두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5월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1월(-1.6%) 감소 이후 2월(0.7%)과 3월(1.1%)에는 반등했으나, 4월(-0.8%)과 5월 감소세를 이어갔다.
산업별로 보면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생산이 늘어난 반면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다. 특히 광공업 생산은 의약품(-10.4%), 금속가공(-6.9%) 부진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 생산은 1차금속과 석유정제 분야는 증가했지만, 의약품과 금속가공 등의 부진으로 전월 대비 3.0% 줄어 4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소비는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주춤했다. 5월 소매판매는 전월과 같은 수준(보합)을 보였다. 통신기기·컴퓨터(1.2%), 의복(0.7%) 등의 판매는 늘었고 화장품(-0.7%) 등 비내구재 판매는 감소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소매판매는 0.2% 줄어들었다.
투자 부문도 부진했다. 5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4.7% 감소하며 3개월 연속 하락세가 지속됐다. 이는 2023년 3~5월 이후 2년여 만에 처음으로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6.9%) 투자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
건설투자 역시 위축됐다. 5월 건설기성은 건축(-4.6%)과 토목(-2.0%)에서 모두 실적이 줄어 전월 대비 3.9% 감소했다. 건설수주는 주택 등 건축(20.7%) 수주 증가에도 발전·통신 등 토목(-62.4%) 수주가 줄며 전년 동월 대비 5.5% 감소했다.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도 악화됐다.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고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1포인트 낮아졌다.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동행지수가 3개월 연속 증가하다 이번에 감소로 전환됐다”며 “경기 회복 조짐이 있었지만, 국내외 불확실성이 이어져 다시 하락한 만큼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