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새 67개 대기업 절반 이상 20대 인력 줄여
삼성전자·SK하닉 줄이고 현대차·LG전자 늘려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청년 실업이 새 정부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 67곳 중 절반 이상이 최근 2년 사이 20대 청년 인력을 약 5만명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0대 고용이 매년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현대차와 LG전자는 오히려 늘어났다. 대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줄이고 경력직 중심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청년층의 취업 기회가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곳을 조사한 결과 20대 임직원 수는 2022년 29만1235명에서 지난해 24만3737명으로 4만7498명 감소했다. 다만 같은 기간 30대 이상은 3만5232명 증가해 전체 임직원 수는 1만2266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20대가 전체 임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24.8%에서 지난해 21.0%로 축소됐다. 조사 대상 기업의 56.7%(38곳)에서 20대 고용이 줄었다.
기업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2022년 43.8%에서 지난해 28.4%로 15.4%p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어 SK온(-12.3%p), LG이노텍(-8.9%p), SK하이닉스(-8.8%p), 삼성전자(-6.6%p) 등의 순이었다.
반면 K-방산 수혜로 인력을 확대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대 고용 비중이 2년 새 8.3%p 증가하며 가장 큰 확대폭을 기록했다. LX인터내셔널(+6.7%p), SK에너지(+5.3%p), 삼성E&A(+5.2%p), 현대제철(+4.6%p) 등도 20대 고용을 늘렸다.

4대 그룹 대표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가 2022년 8만3155명(30.8%)에서 지난해 6만3531명(24.2%)으로 3년간 약 2만명 가까이 줄었다. SK하이닉스 역시 같은 기간 1만1889명에서 8357명으로 줄며 8.8%p 감소했다.
반면 현대차는 2022년 2만6249명(20.8%)에서 지난해 2만7564명(21.8%)으로 꾸준히 증가했고, LG전자도 같은 기간 1만2187명에서 1만3295명으로 확대됐다.
조원만 CEO스코어 대표는 "기업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신입 채용을 줄이고 경력직 중심으로 채용 방식을 바꾸면서 청년층 고용 감소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 "일하고 싶어도 못한다"… 구직자 1명당 일자리 0.39개
- 이 대통령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소비쿠폰 내수촉진 기대"
- 스마일게이트 알피지, 60여 개 직무 전직군 집중채용
- 한국서부발전 ‘2025년 상반기 신입사원 입사식’…112명 선발
- 제주항공, 신입 객실승무원 채용… 10일까지 원서 접수
- 김병기 "내란 수괴 윤석열, 감방서 끌어내 조사해야"
- LG전자, HBM 공급망 뛰어든다… 장비 시장 '지각변동'
- 현대차, 상품성 강화 '2026 ST1' 출시
- [주간차차차] 현대차 기술력 총 집결… '아이오닉 6 N'
-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 내구성 입증… "2.5배 강해져"
- LG, 수해 복구 성금 20억원 기탁
- '어닝쇼크' LG전자, 영업익 6394억… 전년 대비 46.6%↓
- 조주완 LG전자 사장 "AI 전환 속도가 사업 성패 좌우"
- 삼성E&A, 인도네시아 친환경 LNG 플랜트 기본설계 수주
- 삼성디스플레이, '게임스컴 2025'서 세가와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