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서 신형철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 소장(왼쪽부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서 신형철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 소장(왼쪽부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해양수산부는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이 3176억원 규모의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을 체결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사업은 해수부가 주도하는 국가 핵심 프로젝트로 2029년 12월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쇄빙능력과 친환경 기술을 갖춘 연구선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새로 건조되는 쇄빙연구선은 현재 운용 중인 ‘아라온호’보다 성능과 규모 모두에서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된다. 총톤수는 기존 7507t에서 1만6560t으로 두 배 이상 커지고 얼음을 깨는 쇄빙 능력은 약 50% 향상된다.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 3(PC3) 등급 획득을 목표로하며 이는 다년 해빙 조건에서도 연중 항해가 가능한 수준이다.

친경성과 연구 효율성도 대폭 강화된다. 저유황유(MGO)와 액화천연가스(LNG)를 병행 사용하는 이중연료 추진 시스템이 도입돼 탈탄소 흐름에 부응하며 내부에는 모듈형 연구시설이 탑재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다. 이는 고정형 설비에 비해 다양한 연구 목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다.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사진=해양수산부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사진=해양수산부

이번 쇄빙연구선 투입이 본격화되면 극지 연구의 물리적 한계도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현재는 북위 80도까지 제한된 북극 연구 반경이 북극점까지 확대되고, 연간 실질 연구 가능 기간도 기존 40일에서 최대 3~4배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30년 여름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북극에 본격 투입될 시점에는 북극해 전역에서 항해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돼 앞으로 북극항로 개척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정밀 데이터 확보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와 극지연구소는 이번 계약 체결로 2015년부터 추진돼 온 쇄빙연구선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고 평가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우리나라의 앞선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건조되는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와 자원개발 협력을 위한 북극 인프라의 핵심”이라며 “향후 북극항로의 안전 운항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실측 기반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