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이어 2차도 시패, 대면조사 없이 기소 가능성 거론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에 실패한 뒤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빠져 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에 실패한 뒤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빠져 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지만, 피의자의 완강한 거부에 다시 한 번 집행이 무산됐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8시25분경 서울구치소에 체포영장을 집행하기 위해 물리력까지 동원했으나, 윤 전 대통령의 극렬한 저항에 부상 우려가 제기되면서 약 한 시간 뒤인 9시40분경 집행을 중단했다.

특검은 "현장의 판단을 존중해 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일 시도된 1차 체포영장 집행이 윤 전 대통령의 바닥에 드러눕는 방식의 거부로 무산된 데 이은 두 번째 실패다.

당시도 윤 전 대통령은 수의조차 입지 않은 채 강하게 저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체포영장의 유효기간은 이날까지로 특검팀은 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계속해서 대면 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만큼 특검은 대면 없이 재판에 넘기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특검은 앞서 지난달 29일과 30일 소환 요구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자 31일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바 있다. 하지만 이후 변호인단과의 협의에서도 조사 일정이나 방식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강제 집행에 나섰다.

윤 전 대통령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핵심 피의자로 지목되고 있다. 해당 의혹은 2022년 대선을 전후해 명 씨가 여론조사를 무상 제공하고 그 대가로 윤 전 대통령이 특정 인사의 공천을 도왔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특검팀은 2차 집행 실패 이후 수사 전략을 조율 중이며, 향후 기소 여부 또는 강제수사 방식이 다시 논의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