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첨단재료 포토레지스트 생산거점,관세대응 민생투어 대장정 돌입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TOK첨단재료㈜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에 참석했다.(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TOK첨단재료㈜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에 참석했다.(사진=경기도)

[서울와이어=남상인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TOK첨단재료㈜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에 참석하며  ‘달달버스’의 첫 행보로 1000억 원대 외국인 투자 민생경제 현장을 찾았다. ‘달달버스’는 ‘달려간 곳마다 달라진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TOK첨단재료㈜는 평택 포승읍 희곡리 5만5560㎡ 부지에 1010억 원을 투자한다. 고순도 화학제품과 포토레지스트 제조시설을 구축한다. 내년 7월 완공 예정이다.

포토레지스트는 실리콘웨이퍼 위에 도포하는 감광액이다. 반도체 회로를 형성하는 핵심 소재다. TOK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에 납품한다. 평택 공장이 완공되면 국내 자급률이 높아진다.

김 지사는 “반도체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산업”이라며 “경기도를 반도체 국제허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핵심소재 생산기반 확보로 공급망 안정과 기술 자립도가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용인·이천·화성·안성·평택을 잇는 ‘K-반도체 벨트’를 구축 중이다. 포승·현덕지구는 서해안 관문이자 첨단소재 거점이다. 김 지사는 “K-반도체 벨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로 김 지사의 공약인 ‘100조+ 투자유치’도 한 걸음 다가섰다. 그는 “취임 이후 91조 원을 달성했다”며 “두 달 안에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착공식에는 정장선 평택시장, 타네이치 노리아키 TOK 대표, 삼성·SK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와 평택시는 행정·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2공장 계획도 지원하겠다고 했다.

김 동연 지사는 행사 후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자동차·부품업계 관계자를 만났다. 미국 자동차 관세 문제에 대한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그는 지난 3월에도 평택항에서 간담회를 열고, 4월 미국 출장으로 미시간 주지사와 협의한 바 있다. 이후 도는 중소기업 특별자금 1000억 원을 지원했다.

김 지사는 이번에도 “경청·소통·해결” 원칙으로 관세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