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품목 수출은 선전
미국발 관세 확정…대응 전략 필요성 커져
산업부, 체감 가능한 정책으로 기업 피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정부가 미국발 관세 부과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기업들을 돕기 위한 종합 지원책을 9월 초 공개한다. 한미 간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불확실성이 ‘구체적인 부담’으로 바뀐 만큼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맞춤형 대책을 내놓겠다는 취지다.

1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신뢰할 수 있고 실질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겠다”며 “특히 미국의 관세 조치로 직격탄을 맞은 중소·중견기업을 중점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단기 경영난 완화와 내수 진작 ▲수출시장 다변화 ▲주력·유망산업 경쟁력 강화 등 세 가지 축으로 설계 중이다. 기업들의 단기 유동성 확보를 돕고, 신흥시장 진출 지원과 기술력 확보를 통해 장기 체질 개선을 뒷받침하겠다는 것이다.

하반기 수출 환경은 상반기와 성격이 다르다. 상반기에는 ‘어떤 품목에 얼마나 관세가 부과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가장 큰 부담이었다면, 하반기에는 품목별로 확정된 세율과 조건에 대응하는 전략이 관건으로 떠올랐다. 자동차는 유럽·일본과 동일한 15% 관세를 적용받으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혜택이 사실상 사라졌다. 철강·알루미늄 제품도 일반 기계류 파생품목까지 세부 관세가 확대돼 파장이 예상된다.

이 같은 관세 압박에도 지난달 수출 실적은 양호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84억달러(약 81조322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 늘었다. 조업 일수를 반영한 일평균 수출액은 26억달러(약 3조6213억원)로 5.8% 증가했다. 대미 수출이 12% 감소하고 대중 수출도 2.9% 줄었지만, 대만·아세안·중동·중앙아시아 등에서 실적이 뒷받침되며 전체 흐름을 견인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27.1% 증가한 151억달러(약 21조313억원)를 기록해 수출 성장을 이끌었다. 자동차도 미국 시장에서는 고전했지만 유럽과 중동 등 대체 시장에서 친환경차와 중고차 수출이 급증해 8월 기준 역대 최고 실적(55억달러)을 달성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김 장관은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관세 충격을 새로운 시장 개척과 산업 고도화의 기회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