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광고에 정보 축소⋯"위험 정보량 늘려야"
SK바이오팜·셀트리온 美 광고 진행⋯"후속 조치 예정"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정윤식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광고 시장을 겨냥한 규제 강화에 나섰다. 이와 관련 현지 시장에 의약품 광고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은 ‘소비자 직접 광고의 오해 소지 해소(Addressing Misleading Direct-To-Consumer)’라는 제목의 처방약 광고 행정각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에 따르면 1962년 의회는 식품의약국(FDA)에 처방약 광고를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약 회사는 특히 방송 광고에 더 적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게 됐다.

이 같은 상황에 트럼프 행정부는 의약품 광고에 대한 현재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미국 소비자에게 공정하고 균형잡히며,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HHS) 장관은 관련 법률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처방약 광고에 제공돼야 하는 처방약의 사용과 관련된 위험에 관한 정보의 양을 늘리는 것을 포함, 소비자 직접 처방약 광고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식품의약국장은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의 처방약 광고 조항을 시행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처방약 광고에서 진실되고 오해의 소지가 없는 정보를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미국 현지에 진출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지난 5월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해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미국제품명 엑스코프리)’의 소비자 직접(DTC) TV 광고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제품 인지도 제고와 신규 처방 확대를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의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현재 내용을 파악 중이며, 자세한 세부 사항이 확인되면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경우 지난해 9월 ‘램시마SC(미국제품명 짐펜트라)’의 미디어 광고를 시작했다. 이 광고는 투약 편의성이 높다는 제품 강점을 활용해 환자 스스로 삶의 질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당시 셀트리온은 짐펜트라의 광고가 핵심 세일즈활동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해당 광고는 현지 제약바이오 광고, 마케팅 전문 기업인 DTC Perspectives가 주최하는 ‘2025 DTC 광고 어워드‘에서 ‘최고의 새 브랜드 TV/비디오 분야‘ 결선에 진출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가 최근 화두로 떠오른 의약품 관세나 약가와는 별개라고 지적했다. 현지에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오피오이드를 비롯한 마약성진통제를 규제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올해 3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미국의 오피오이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을 갱신했다고 발표했다.

이후 5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해 약물과다 복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8만391명으로 추산됐다는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전년 발표된 11만37명 대비 26.9%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약물 과다 복용은 여전히 18세에서 44세 사이의 미국인들 사이에서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남은 상태다.

실제로 오피오이드 사태로 불리는 마약성진통제 남용으로 미국은 2017년부터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옥시콘틴(OxyContin)’을 제조한 퍼듀파마는 마케팅·판매 과정에서 책임이 있다는 사유로 다수의 소송에 직면했다. 이 기업은 지난 2019년 파산을 신청했으며, 현재까지 피해자들과의 합의를 진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발표는 마약성진통제나 오피오이드 등의 오남용을 유발할 수 있는 의약품 광고가 불러일으킬 수 있는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며 “실질적으로 미국에서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 기업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