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의 후판 생산 공정 모습. 사진=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후판 생산 공정 모습. 사진=포스코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철강업계 지원 강화 방안을 내놓았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철강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효율성과 산업 안전을 높이고 저탄소 철강재와 특수탄소강 개발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저탄소·고부가가치 전환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방문해 포스코 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둘러본 뒤 철강업체 사장단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그는 “근로자 안전이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라며 안전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대외 현안과 관련해선 “대미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되지 못했다”며 “앞으로도 미국과 관세 완화 협의를 이어가고, 관세 부담 완화 대책과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대응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철강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철강기업·금융권·정책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약 4000억원 규모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공급과잉 문제 대응책도 언급했다. 그는 “품목별 대응 방향을 업계와 긴밀히 검토하겠다”며 “국회에 발의된 철강산업특별법도 핵심 정책과제가 입법화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에서 추진 중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경쟁력을 높일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정부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8100억원 규모의 실증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번 현장 행보는 최근 반복된 철강업계 안전사고와 글로벌 공급과잉 우려 속에서, 인공지능과 신기술을 활용해 안전·생산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려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