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머지않은 시일 내에 다시 만날 것"

6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인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6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인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한국 외환시장의 민감성에 대해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김 장관은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제시한 안 가운데 특히 외환시장 안정과 관련한 논의에서 이견이 점차 좁혀지고 있다”며 “이번 협상이 한국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상호 인식이 공유됐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통상당국에 따르면 김 장관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을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방미는 대통령실 일부 핵심 관계자만 사전에 인지한 비공개 일정으로, 산업부 내부에서도 극비리에 추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연휴 기간 시간을 내 방문한 것일 뿐 극비 일정은 아니었다”며 “러트닉 장관과 단독으로 회담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지난 7월 말 관세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대신,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93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추진하는 방안에 큰 틀에서 합의한 바 있다. 다만 투자 구조와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조율이 남아 있어 양해각서(MOU) 체결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 정부는 대규모 대미 투자에 따른 외환시장 불안 가능성에 대비해 통화스와프 체결을 핵심 조건으로 제시한 상태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통화스와프 논의가 있었다”며 “구체적 진전이라기보다 이번 협상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양측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무제한 스와프’ 가능성에 대해서는 “형태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번 딜이 외환시장에 미칠 파급력과 민감성을 서로 인식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를 ‘선불(up front)’로 표현한 것과 관련해서는 “그런 논의는 없었다”며 “투자처나 구체적 구성안 등은 아직 논의 단계에 이르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추가 협의 일정에 대해서는 “머지않은 시일 내에 다시 만날 것으로 본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전에도 한미 간 추가 접촉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전날 화상으로 열린 대통령실 주재 긴급 통상현안 대책회의에 참석한 김 장관은 “국익, 시장 안정성, 한미 관계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며 “현재로서는 외환시장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