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금융투자협회는 펀드의 전체 판매잔고가 지난 8월 말 기준 1002조 9890억 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펀드 판매잔고는 증권사, 은행 등 금융회사의 영업점·지점,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판매된 펀드의 규모로서, 상장시장에서 거래되는 펀드(ETF, 부동산펀드, 특별자산펀드 등) 등이 제외된 것을 말한다.
협회에 따르면, 전체 펀드 판매잔고는 2024년 말 872.8조 원 대비 130.2조 원이 늘며 올 들어 14.9% 증가했다.
공·사모 유형별로는 일반 대중들이 가입하는 공모펀드가 2024년 말 233.0조 원 대비 69.5조 원이 증가한(29.8%↑) 302.5조 원을 기록했다. 전문투자자가 주로 투자하는 사모펀드는 2024년 말 639.8조 원 대비 60.6조 원이 증가한(9.5%↑) 700.5조 원을 나타냈다.
펀드 유형별로는 MMF(단기금융펀드)가 224.7조 원으로 전체 판매비중의 22.4%를 차지했으며, 부동산펀드(185.7조 원, 18.5%)와 채권형펀드(172.5조, 17.2%)가 그 뒤를 이었다.
이를 공·사모 펀드별로 살펴보면, 공모펀드는 MMF가 165.8조 원으로 공모펀드의 54.8%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채권형펀드(52.4조 원, 17.3%)와 주식형펀드(28.0조, 9.3%) 순으로 나타났다. 사모펀드는 부동산펀드(185.1조 원, 26.4%)의 판매잔고 규모가 가장 컸고, 특별자산펀드(148.2조 원, 21.2%), 채권형펀드(120.1조 원, 17.1%)가 그 다음을 기록했다.
주요 금융기관별 판매잔고는 증권사가 799.5조 원(79.7%)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은 112.0조 원(11.2%), 보험사는 12.1조 원(1.2%)을 기록했다.
고객유형별로는 금융기관 법인이 퇴직연금, 법인MMF 등의 영향으로 666.5조 원을 기록해 가장 많은 비중(66.5%)을 차지했으며, 일반법인 236.9조 원(23.6%), 개인 99.6조 원(9.9%) 순으로 집계됐다.
개인 투자자의 경우, 주식형펀드가 20.7조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20.7%)을 차지했고 MMF도 이와 비슷한 규모인 20.2조 원(20.3%)으로 나타났다.
전체 펀드 계좌수는 3,602만 개로 집계되었다. 이 가운데 공모펀드가 3,593만 개(99.8%)로 계좌수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사모펀드는 9만 개(0.2%)를 기록했다.
이환태 금투협 산업시장본부장은 “펀드는 국민의 자산관리와 재산 증식을 위해 활용되는 가장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투자수단”이라며, “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하는 최근 흐름 속에서 펀드 시장의 성장은 우리 경제의 재도약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ETF 등 상장펀드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펀드시장 규모는 8월 말 순자산총액(NAV) 기준으로 1308.8조 원(공모펀드 578.1조 원, 사모펀드 730.7조 원)을 기록했다.
- NH투자증권, 트레이딩시스템 리뉴얼 및 홈페이지 주소 변경
- 신영증권, 다음달 주식대여서비스 출시
- KB운용, ‘서울세계불꽃축제’ 맞아 한부모가정 초청행사 진행
- 정은보 "STO·가상자산 ETF 준비…코리아 프리미엄을 '뉴노멀'로"
- 미래에셋, 운용자산 450조 돌파…“3년 만에 200조 증가”
- 미래에셋증권, ‘China Day 2025’ 성료…중국 혁신기업 대거 참석
- 미래에셋, 연금투자자 절세교육 '연금 절세무사' 시리즈 공개
- 이억원 금융위원장 "코리아 디스카운트 넘어 코리아 프리미엄 창출"
-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에 3430선 마감…네이버 ‘급등’
- 코스피, 美 셧다운 우려에 보합권 등락…네이버 조정중?
- '투자를 문화로'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 'N2(엔투)'로 브랜드 확장
- 보험업계, '따로 같이 관리하는'실적과 건정성…IFRS17의 벽 '고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