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김민수 기자] 금융권이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개편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지원 협약을 공식 체결했다.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를 맞은 석유화학 업계의 사업재편을 뒷받침하고, 정상기업의 선제적 자구노력을 돕기 위한 금융지원의 ‘틀’이 마련된 것이다.
은행연합회는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 캠코 등 정책금융기관과 17개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 구조혁신 지원 금융권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8월21일 열린 석유화학 사업재편 간담회 이후 금융권 협의를 거쳐 마련된 것으로, 채권금융기관 자율협의회를 중심으로 사업재편 대상 기업의 구조개선과 금융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석유화학 산업이 글로벌 공급과잉과 근본적 경쟁력 약화로 위기를 겪고 있다”며 “금융권도 정부의 구조개편 정책에 발맞춰 자율협약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협약은 정상기업에 대한 선제적 금융지원으로 자구노력을 유도하고 부실을 예방하는 win-win 모델”이라며 “기업의 사업재편 계획 이행을 충실히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선제적 사업재편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석유화학 산업이 첫 적용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채권은행은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기업의 자구노력과 계획을 엄밀히 평가하고, 타당한 재편계획에 대해서는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권 부위원장은 “석화업계가 제시한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아직 부족하다”며 “시장 불안을 해소하고 산업의 실행력을 보여주기 위해 구체적 사업재편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협약에 따른 금융지원이 정상기업을 대상으로 철저한 자구노력을 전제로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는 만큼,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자산건전성 분류 상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협약에 따라 기업이 주채권은행에 구조혁신 지원을 신청하면, 주채권은행은 채권은행들로 자율협의회를 소집해 절차를 개시한다. 협의회는 외부 공동실사를 통해 사업재편계획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만기연장·이자율 조정·이자유예 등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필요 시 신규 자금 지원도 가능하다.
자율협의회의 검토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의 사업재편 승인 후에는 구조혁신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재편과 금융지원이 진행된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을 시작으로 주력산업 전반의 구조혁신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