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채용·국내 인력 활용 등으로 미비한 부분도
일자리 매력 관건… 근로·연구환경 등 개선 필요

K-테크 패스 발급절차 안내.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인재유치센터
K-테크 패스 발급절차 안내.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인재유치센터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정부가 해외 인재 유치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배터리 기업의 이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급 글로벌 인재들이 한국에 입국해서 취업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30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4월부터 'K-테크 패스 프로그램'을 시행했으나 배터리 분야 신청은 2건이 접수됐다. SK온 관계자는 "아직까지 K-테크 패스 제도를 활용한 사례는 없다"며 "추후 관련 채용 건이 생기면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테크 패스 사업은 한국 기업이 배터리,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기술 개발을 주도할 수 있는 우수 해외 인재를 채용할 때 비자·정착 지원 등이 이뤄지는 제도다.

세계 100대 이과·공과대학에서 자연과학·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거나 세계 500대 기업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인재들을 대상으로 ▲최우수인재 거주비자 발급(F-2) ▲10년간 근로소득세 50% 감면 ▲자녀의 외국인학교 정원 외 입학 허용 ▲동반입국 허용범위 확대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인재유치센터 관계자는 "K-테크 패스의 혜택이 타국보다 부족하진 않고, 글로벌 인재들의 영미권 선호로 비영미권은 비슷한 문제에 처해 있다"며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는 다 갖췄고 배터리의 경우 조금 더디지만 업황이 좋아지면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EV) 캐즘 등의 이유로 기업들이 해외 인재 채용을 꺼린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연구개발(R&D) 인력과 투자는 늘리고 있다"며 "해외 인력 채용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가 해외 공장을 많이 운영하기 때문에 국내가 아닌 현지에서 해외 인재를 주로 채용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한·중·일 3국에 전세계 주요 배터리 대기업이 몰려있다보니 국내에서는 내국인 연구자를 우선 채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해외 고급 인력을 유치하는데 있어 비자, 정착 지원 등은 차순위고 일자리의 매력도가 관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세계 각국 기업이 원하는 인재들은 임금, 성장 가능성, 연구 환경 등이 갖춰져 동기 부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다.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대기업들은 글로벌 톱클래스 인재가 아니면 굳이 외국에서 찾을 이유가 없고, 해외 인재도 현지에서 근무할 수 있으면 굳이 한국에 올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며 "기업 문화 등이 좀 더 포용적으로 바뀌어 해외 인재들이 연구하고 소통하기 더 편하게 변해야 하고, 정부는 기업과 인재의 동반 성장 문화를 조성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