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잇단 사고에 과방위 "보안 리스크 총점검"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이동통신 3사 최고경영자들이 오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 증인석에 일제히 선다. 최근 잇따른 해킹 사고와 전산망 장애로 국민 불안이 커진 가운데, 올해 국감은 ‘보안 리스크 점검’이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과방위는 이날 국감에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영섭 KT 사장,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을 증인으로 불러 각사 보안사고의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김영섭 사장은 14일 정무위원회와 21일 과방위, 두 차례 국감 증인으로 소환됐다. 14일 정무위에서는 경영 책임과 사장 선임 절차의 공정성을, 21일 과방위에서는 해킹 대응 체계와 내부 통제 수준을 따질 것으로 보인다.
KT는 지난 8월 무단 소액결제 사고로 초소형 기지국 관리와 결제 서버 보안의 허점을 드러냈다. 외부 전문업체의 서버 전수조사 결과 일부 시스템에서 침해 정황이 확인되며 논란이 확산됐다. 회사는 사고 직후 보안 체계 전면 재점검과 외부 모니터링 강화를 약속했지만 국회는 사고 경위와 내부 통제 미흡 여부를 집중적으로 따질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올해 4월 2300만명에 달하는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 사고를 겪었다. 통신 3사 중 가장 큰 피해로, 통신망의 신뢰도와 정보보호 수준 전반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이후 전사 보안조직을 강화하고 AI 기반 위협 탐지 시스템을 도입했지만, 국회는 이 조치가 실제 성과로 이어졌는지를 검증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 매거진(Fraq Magazine)’이 내부 서버 관리용 계정 권한 시스템(APPM) 정보가 외부에 유출됐다고 보도하면서 보안 논란이 재점화됐다. 회사 측은 “해킹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고, 고객 정보 유출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 같은 사건들이 잇따르면서 올해 과방위 국감은 ‘통신 인프라 보안체계의 총점검’이란 성격을 띠게 됐다. 과방위는 보안 문제 외에도 KT 사장 교체 과정의 공정성 논란을 함께 다룰 예정이다. 김영섭 사장의 선임 당시 외부 압력이나 정치적 개입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구현모 전 대표와 윤경림 전 부문장 등 당시 후보군 인사들도 참고인으로 채택됐다.
이번 국감에서는 통신 3사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관리·감독 책임론도 함께 거론될 전망이다. 여야 의원들은 ‘ICT 보안 컨트롤타워’의 부재, 해킹 대응 매뉴얼의 실효성,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필요성 등을 놓고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 국힘 원로들 "윤어게인·부정선거와 결별하라"
- 대법원장 증언대 논란… 조희대 "재판 독립 위축될 수 있다"
- 국토위,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 증인 철회… 기업인 소환 '제한 기조'
- 캄보디아 취업사기 참사에… 민주, ‘해외 취업사기 특위’ 띄워
- 새정부 출범 후 첫 국감…유통기업 줄줄이 소환
- LG유플러스, 소아암 환아 위한 '화담숲 힐링 캔버스' 개최
- KT·팔란티어, AI 데이터 플랫폼 확산 논의…AX 산업 혁신 본격화
- LG유플러스, 제주에 자율주행 청소차 투입…청정 도시 실증
- KT, '지니 TV 디즈니+ 모든G' 출시…IPTV·OTT 통합 요금제
- KT, 불법 펨토셀 4개라더니 20개…피해자도 6명 추가
- LG유플러스, 맞춤형 AI 기능 강화한 '익시오 2.0' 출시
- LG유플러스, 최대 5년 약정 요금제 '너겟 라이트' 정식 출시
- KT, '피해자만 한정 보상' 유지…SKT 보상과 온도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