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최근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며 ‘사천피’(코스피 4000) 돌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이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4일까지 코스피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6조653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6월(16조9480억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달과 비교해서는 44%(5조990억원) 급증했다.
해당 기간 코스닥의 일평균 거래대금이 전월 대비 13.9%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코스피 시장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는 평가다.
앞서 올해 초 9조원대에 머물던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4월에는 7조9000억원대로 줄었다가 6월에는 15조2000억원을 넘기며 반등했다.
그러다 이달 들어 투자심리 회복과 함께 거래가 활발해진 모습이다.
특히 거래대금의 상당 부분이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우선주의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은 총 4조599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코스피 거래대금의 28%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와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가 매수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지난 24일 기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우선주의 시가총액 합계는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섰다.
이준석 한양증권 연구원은 “증시가 활황을 보이는 가운데에서도 거래가 소수 대형주에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명 '손 바뀜' 현상인 거래 회전율 역시 상승했다. 이달 코스피의 일평균 회전율은 0.54%로, 지난달(0.42%)보다 29% 증가했다.
증권가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국내 주요 기업들의 3분기 호실적 전망이 코스피의 추가 상승을 이끌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고, 3분기 실적 시즌에 돌입하면서 ‘깜짝 실적’이 기대되는 빅테크(대형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최근 급등에 따른 부담과 한미 무역 협상 결과가 향후 증시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무역 협상 결과로 미 달러화 대비 원화(원·달러) 환율이 하락 안정화되느냐에 따라 외국인 수급 흐름을 결정할 것”이라며 “최근 코스피 주가수익비율(PER)이 11.5배까지 올라온 만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