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학은 ‘미적분’, 국어는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수험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종로학원은 올해 시행된 교육청 모의고사 4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 2회를 합산해 분석한 결과, 두 과목의 난도가 다른 선택과목보다 높게 나타나 표준점수 최고점이 더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 올해 모의평가 6회 결과를 보면 수학에서 미적분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확률과 통계 만점자보다 항상 높았다. 기하 역시 확률과 통계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기록했다.
예컨데 지난 3월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확률과 통계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149점, 미적분 만점자는 157점으로 8점 차이가 났다.
표준점수는 시험 응시자 전체의 평균 점수와의 격차를 반영하는 지표로 평균이 낮을수록 최고점이 높게 산출된다. 어려운 시험일수록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상승한다는 의미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미적분은 한 번도 확률과 통계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기록한 적이 없다. 인문계 학생이 주로 확률과 통계를, 자연계 학생이 미적분이나 기하를 택하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다.
국어 과목에서도 같은 현상이 이어졌다. 통합수능 도입 이후 치러진 교육청 모의고사 20회, 평가원 모의고사 10회, 수능 본시험 4회를 모두 합산하면 ‘언어와 매체’의 표준점수가 ‘화법과 작문’보다 1~7점 높았다. 올해 모의고사 6회에서도 언어와 매체가 2~7점가량 앞섰다.
오는 13일 치러질 수능에서도 이같은 경향이 반복될 경우 자연계 학생이 언어와 매체, 미적분을 선택하더라도 무전공 선발 전형에 지원하거나 인문계 학과에 교차 지원할 때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올해 수능에서 언어와 매체, 미적분 접수 인원이 작년 대비 각각 7.4%(1만3868명), 15%(3만6617명) 줄고 화법과 작문, 확률과 통계 응시 인원이 전년보다 각각 13.2%(4만3743명), 27.7%(6만4615명) 늘어난 것이 정시 전형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