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시 인력풀·직무교육 체계화
- 피해조사·NDMS 입력 등 인력 부족 시 시군 간 지원 가능

(사진=경기도청)
(사진=경기도청)

[서울와이어=남상인 기자] 경기도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시군과 합동으로 피해조사 등 행정 인력을 지원할 수 있는 응원체계를 마련하고 시행에 들어간다고 16일 밝혔다.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 집중호우, 대형산불 등 개별 시군 대응 능력을 넘어서는 대형‧복합 재난 발생 시 피해조사 등 단독 대응이 어려운 경우 도와 인근 시군이 함께 행정 인력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난 7월 가평군 일대 집중호우 당시 도와 9개 시군은 6일간 행정 인력 190명을 긴급 투입해 상면·조종면·북면 등에서 피해조사와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NDMS) 입력 등을 지원한 바 있다.

도는 이 사례를 상시화하고 제도화하기 위해 피해 시군이 지체 없이 행정 지원을 요청할 수 있는 ‘도 차원의 행정 응원체계’를 구축했다.

행정 응원 인력은 피해 현장 조사와 피해신고 입력 등 관련 업무에 숙련된 자원으로 구성된다. 도는 시설별 소관부서를 중심으로 직무 경력, 직렬·직급 등을 반영해 상시 인력풀을 만들고, 즉시 투입이 가능하도록 평상시 직무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도는 다음 달 중 도와 시군의 분야별 파견가능 인력풀을 구축하고, 내년 상반기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운영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재난 발생 시 피해조사를 신속히 시행하는 것이 복구 지원의 출발점”이라며 “도와 시군이 협력해 피해 주민이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