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중국의 소비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신한자산운용이 새롭게 성장하는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SOL 차이나 소비트렌드’를 선보였다.
25일 신한자산운용에 따르면 이날 상장한 ‘SOL 차이나 소비트렌드’는 중국의 인구 구조 변화, 소비 주체의 세대 교체, 콘텐츠 지적재산권(IP), 라이프스타일 산업의 급성장을 기반으로 한 신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게 특징이다.
‘SOL 차이나 소비트렌드’는 총 10종목으로 구성됐다. 신소비 성장축을 ▲소장가치 소비 ▲경험 소비 ▲뉴 라이프스타일 소비 등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 핵심 기업을 담았다.
주요 종목으로는 라부부 등 자체 아트토이 IP로 MZ세대 컬렉션 문화를 이끄는 팝마트(POP MART), 전통 금세공과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해 젊은 층의 취향을 반영한 라오푸골드(LAOPU GOLD)가 있다.
이 외에도 ▲스타샤인 홀딩스(Star Shine Holdings) ▲안타스포츠(ANTA Sports) ▲디피씨 대시(DPC Dash) ▲알리바바 픽쳐스(Alibaba Pictures Group) ▲미쉐(MIXUE Group) 등 다양한 신소비 성장 기업이 있다.
최근 중국 소비 시장은 뚜렷한 구조적 변화를 맞고 있다. 지난 2010년대까지는 고급술·명품·보석·고급차 등 지위 중심 소비가 주류였지만, MZ세대의 부상과 함께 취향 경험·개인만족·자기표현 중심으로 소비 취향이 전환됐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총괄은 “중국 소비는 과거처럼 관계와 지위를 드러내기 보다는 즐기기·공유하기·수집하기와 같은 개인화된 소비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인구 구조 변화, 소득 수준 향상, 도시화, 디지털 소비 생태계 확장 등이 결합된 본질적인 변화라는 게 김 총괄의 진단이다. 속도 또한 매우 빠른 만큼, 새로운 문화를 이끄는 기업을 선별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김 총괄은 “중국의 신소비 기업들은 내수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며 성장 영역을 넓히고 있어 ‘SOL 차이나 소비트렌드’를 통해 중국 소비의 새로운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 소비 구조 변화라는 새로운 투자 축에 주목해 시장의 빈틈을 채워줄 상품”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