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빠르고 규제 약한 리모델링사업 확산
서울서 리모델링 진행하는 단지는 총 33곳
주요 건설사도 리모델링 확산 대비책 마련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잇따른 규제강화로 서울 재건축단지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 서울아파트 재건축사업 승인여부가 불확실해져 기대감이 하락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속도가 빠르고 규제가 약한 리모델링사업이 확산되는 것으로 보인다.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1분기 서울에서 조합을 설립하고 리모델링사업을 진행하는 공동주택 단지는 총 33곳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개포동 대치 2단지 1753가구 ▲성동구 금호동 1가 벽산 2921가구 ▲송파구 가락동 쌍용 1차 2063가구 등이다.
리모델링사업은 공사기간이 짧고 진행과정에서 용적률상한에 막혔을 경우 특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재건축보다 사업성이 비교적 낮고 공사난이도가 높다.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수직증축과 내력벽철거 방식은 안전문제로 허가를 받기 어렵다.
아울러 리모델링은 재건축 단지에 비해 규제가 덜하다. 재건축은 준공 이후 30년이 넘은 건물일 경우 진행할 수 있으나 리모델링은 15년이 넘은 건물에 적용할 수 있다. 기본단지에 구조 등을 수선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공사비 부담도 적고 임대공급 의무도 없어 조합선호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 재건축 단지는 안전진단 등급이 최소 D이하일 경우 진행할 수 있으나 리모델링은 B, C 등급 이상이면 할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서울 공동주택 단지들이 공사기간이 길고 사업여부가 불확실한 재건축을 기다리는 것보다 리모델링을 추진해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제로 부동산114 조사결과 올 1분기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리모델링 사업을 논의하는 서울 지역 공동주택 단지는 18곳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에서는 ‘서울형 리모델링 사업’이 허가된 단지들의 시범결과에 따라 서울아파트가 리모델링시장에 눈길을 돌릴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리모델링협회에 따르면 ▲중구 남산타운 ▲송파구 문정시영 아파트 ▲강동구 길동 우성2차 아파트 등 7개 단지가 서울형 리모델링사업을 진행 중이다.
한편 서울에 리모델링사업이 확산될 조짐이 보이자 주요 건설사들도 대비책을 마련하는 상황이다. GS건설은 지난 7일 건축·주택 부문 도시정비사업 그룹 조직개편을 통해 리모델링팀을 구성했다. 삼성물산과 대우건설도 올 3월 리모델링 사업팀을 신설했다.
- 보유세 폭탄 맞은 강남, "갭투자로 강북 넘어가나?"
- [내집 마련 캘린더] "놓치면 손해, 이번주 청약일정"
- 종부세 기준금액 10억7천만원 되나… '억단위 반올림' 수정 논의
- 6월 서울 집값 0.79% 상승…두달 연속 상승폭 확대
- "집값만 올랐다" 재건축 조합원 2년 실거주 방안 철회
- 국토안전관리원, '클라우드 기반' 정보시스템 추진
- 서울 전셋값 고공행진, 하반기 전세난 심화 전망
- 최우선 변제금 이하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의무가입 면제
- "서민 무시한 바가지 분양?" 확산되는 건축비 급등 논란
-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상승…"재건축·중저가 수요 영향"
- 건설업계에 부는 ESG 바람… "양극화는 괜찮을까?"
- "협력사가 곧 힘이다" 상생성장 팔 걷은 건설사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