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디지털 경쟁력 확보… "지원 뒷받침돼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수출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평가한 디지털 경쟁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46.7점에 그치며 낮은 수준으로 평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추격이 거세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31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329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환경 및 경쟁력 현황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은 70.1점으로 비교적 높았지만, 자체 평가한 자사의 디지털 경쟁력 점수는 46.7점으로 이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성장에 디지털 경쟁력 확보가 어느 정도로 중요한가’라는 문항에 기업의 72.9%가 80점 이상의 점수를 줬다. 대부분은 디지털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기업들은 인력 부족(25.9%), 투자 부족(21.3%), 연구개발 부족(14.9%), 경영전략 부재(12.3%) 등을 이유로 들면서 자사의 디지털 경쟁력이 취약하다고 답했다. 또한 최근 중국이 빠른 속도로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해나가는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기업도 많았다.
중국의 추격에 대해 50점 이하면 우려, 50점 이상이면 기회 요인으로 판단하는 질문에 전체 59.9%의 기업은 50점 이하의 점수를 줬다. 이에 평균 점수는 38.5점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주로 글로벌시장에서 경쟁 심화(47.2%), 지식재산권 침해(33.6%) 등을 걱정했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에서 발표한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경쟁력 순위는 지난해 8위에서 올해 12위로 하락했지만, 중국의 경우 2013년 38위를 시작으로 올해 15위에 오르면서 격차를 줄였다.
디지털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술은 빅데이터라고 답한 기업이 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공지능(19.5%), 사물인터넷(16.5%), 3D프린터와 로봇(11.6%) 등을 답했다.
아울러 기업들은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30.7%), 디지털 전환(27.3%), 인력 양성(23.8%), 기업 컨설팅(16.6%) 등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무역협회는 “우리나라의 디지털 경쟁력은 미국, 대만에 이은 3위이자 아시아 국가 가운데 홍콩, 싱가포르, 대만에 이은 4위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경쟁하는 대만과 중국과의 격차를 벌리려면 기업들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에 더욱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