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제외한 24개 자치구 102곳 참여 신청

서울시에 따르면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에 대한 공모를 지난달부터 이달 29일까지 접수한 결과 24개 자치구 102곳이 사업 참여를 희망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시에 따르면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에 대한 공모를 지난달부터 이달 29일까지 접수한 결과 24개 자치구 102곳이 사업 참여를 희망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택 공급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신속통합기획’ 후보지를 모집한 결과 24개 자치구에서 총 102곳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에 대한 공모를 지난달부터 이달 29일까지 접수한 결과 서초구를 제외한 24개 자치구에서 총 102곳이 참여했다. 이는 지난해 시행된 공공재개발 후보지 신청 70곳을 넘어선 수치로 사업 흥행에 청신호가 켜졌다.

자치구별로 후보지 신청은 용산구와 성북구, 은평구에서 각각 11곳이 신청돼 가장 많았다. 이어 마포구 7곳, 종로구 6곳, 성동·강북·영등포구 각 5곳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송파구도 각각 4곳, 2곳이 후보지 공모를 접수했다. 

각 자치구는 법적 구역지정 요건 공모 시 제시한 평가 기준을 사전 검토해 다음 달 말까지 후보지를 추천한다. 서울시는 자치구로부터 추천받은 내용을 토대로 외부 전문가와 시의원 등이 참여하는 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연내 25개소 내외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위원회는 자치구에서 제출한 자료를 검토해 노후도 등 물리적 여건을 반영한 정량적 평가점수와 ▲자치구 여건 ▲구역의 정책적 요건 ▲구별 안배 ▲주택가격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구역은 즉각 투기방지대책이 시행되는 동시에 분양권이 없는 신축행위를 제한하는 건축허가 제한이 도입된다. 또한 실소유자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서울시는 해당 사업을 통해 과거 5년 이상 걸리던 구역지정 기간을 2년으로 단축하고 사업성·공공성의 균형을 이룬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신속한 사업추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